d라이브러리
"장기"(으)로 총 2,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우주탐사가 활발히 진행될 미래에는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Alice 추진제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용한 우주 추진제로 주목받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용어설명 수반응(water reaction) : 금속성 물질과 물이 만날 때 급격한 반응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대표적인 예로 리튬을 물에 넣었을 때와 ...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다른 세포들을 함께 키워보는 것이죠. 과연 배아줄기세포들이 스스로 건축가가 돼 장기들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요? 다음 6월호에서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성진우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포유류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 ...
-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수치를 높이는 약인 이유가 여기 있다”고 했습니다.도파민은 주의집중력을 올리거나, 장기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도록 도와주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신경전달물질은 신경세포 사이의 틈(시냅스)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화학물질입니다. 신경세포에서 분비한 신경전달물질이 ... ...
- '갓생'에 대해서 뇌과학이 알려줄 수 있는 것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능률을 올리는 건 가능합니다. 하지만 앞서 이야기했듯 뇌는 항상성을 유지하는 장기입니다. 능률이 높아진 상태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건 무리예요. 시간이 지나면 더 피곤해 지거나 잠이 더 오는 등 기능이 떨어지기 마련이죠. 자연스럽지 않은 방식은 부작용을 수반할 수밖에 없습니다. 김정연 ... ...
-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 땅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좁은 부지에서 연구를 키우기엔 한계가 있었습니다. 1968년 발표된 ‘과학기술개발 장기종합계획’에서도 ‘연구학원단지’ 조성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연구 자료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고, 통계와 분석 센터 등 연구 보조시설을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보고서는 또 교육과 연구를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그럼 스팸 문자를 모으게 하는 것도 계획의 일부일까?’핍은 고개를 저었다. 사람의 장기보다 AI 컴퓨터의 부품값이 수천 배나 비싸진 시점에서 저항은 의미 없어 보였다. 더그가 벌떡 일어나 옷맵시를 다듬자 탄소 덩어리들이 사방에 흩날렸다. 일부는 홍합탕에 떨어졌으나 핍은 불만을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갖춘 자율 주행 로봇과 드론이 화성 표면의 지형 정보를 더 정밀하게 만들어내면 인간의 장기 거주를 더 잘 준비할 수 있다. ▲ 2022년 12월 지구를 떠난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무인 탐사차량 ‘라시드’가 4월 말에 달에 착륙해 임무를 개시할 계획이다. 라시드에는 AI 장비가 탑재됐는데 이는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줄기세포로 장기를 조립하다,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사실 복제인간들을 수용하는 장소였고, 이 복제인간들은 몸의 주인이 병들고 아플 때 장기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었습니다. 환상의 섬 ‘아일랜드’로 간다는 것은 곧 주인을 위한 복제인간들의 죽음을 의미합니다. 성진우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포유류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기다린다. 여전히 연결된 밴드로 이이연이 묻는다.—달리기 안내로봇을 지정해서 장기대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해? 내 전방카메라가 이이연의 물기가 가득한 눈과 올라간 입꼬리를 본다. 지난 15년 동안 21번의 마라톤에 참가해 20회 완주한 끝에 나는 깨닫는다. 그렇게 나는 또 다른 사용자를 만났고, ... ...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간의 부피는 40% 증가하고, 혈관은 2~3배 더 투명해진다. 이때 유리개구리의 간을 비롯한 장기는 빛 반사도가 높은 구아닌 결정에 둘러싸여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유리개구리가 어떻게 하루 중 무려 10시간 동안이나 숨을 쉬지 않고 극도의 저산소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냐는 점이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