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기"(으)로 총 2,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기다린다. 여전히 연결된 밴드로 이이연이 묻는다.—달리기 안내로봇을 지정해서 장기대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해? 내 전방카메라가 이이연의 물기가 가득한 눈과 올라간 입꼬리를 본다. 지난 15년 동안 21번의 마라톤에 참가해 20회 완주한 끝에 나는 깨닫는다. 그렇게 나는 또 다른 사용자를 만났고, ... ...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간의 부피는 40% 증가하고, 혈관은 2~3배 더 투명해진다. 이때 유리개구리의 간을 비롯한 장기는 빛 반사도가 높은 구아닌 결정에 둘러싸여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유리개구리가 어떻게 하루 중 무려 10시간 동안이나 숨을 쉬지 않고 극도의 저산소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냐는 점이다. ... ...
- DARE MIGHTY THINGS 위대함에 도전한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약 400km 떨어진 우주에 국제우주정거장(ISS)을 만들었다. 2000년 11월 2일, ISS에 첫번째 장기 투숙객이 들어왔다. 미국의 윌리엄 셰퍼드, 러시아의 유리 기젠코, 세르게이 크리칼료프까지 세 명의 승무원이었다. 임무는 ‘터 닦기’. 위 말은 이듬해 3월까지 중노동을 이어가던 그들에게 귀환 우주선 ... ...
- 공동연구 잘~하는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목표를 세우면 딱 거기까지만 해야 할 것만 같잖아요. 오히려 한계를 주는 것 같아서 장기 계획은 세우지 않아요. 다만 오늘 내가 얼마나 열심히 했는가에 따라 5년, 10년이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은 늘 해요. 오늘도 제가 열심히 연구하는 이유고요. ◦ 공동연구자가 보는 김재경"김재경 교수는 ... ...
- [Space Math] 우주시대 앞당기는 기술 적층제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UEL 대표는 우주 개발에 쓰이는 적층제조 기술에 관해 다음과 같이 전해왔다. "사람이 장기 거주하는 우주 개발에는 ‘현지 자원 활용(ISRU)’ 기술이 필요합니다. 정착지 건설을 위한 모든 물자를 지구에서 조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에요. 이에 소량의 고분자와 현지의 흙을 이용한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왜 해당 장기로 분화했는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각각 성격이 다른 조직과 장기들을 연구하는 데는 10여 년 전 새롭게 등장한 체외배양 모델인 ‘오가노이드(organoid)’가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
- [DGIST@융복합 파트너] KIM’s LAB 열과 전기의 마법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원소를 뜻한다. 단기적으로는 영구자석에 사용하는 중희토 양을 줄이는 것이 목표고, 장기적으로는 아예 중희토를 쓰지 않는 것이 목표다. 중희토는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해서 쓰고 있는데, 중국이 수출을 줄일 때마다 산업의 불안정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중희토 채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클라우드 서비스 슬기롭게 활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➌ 혹시 부득이 개인정보가 담긴 자료를 올려야 한다면 암호화 기능을 사용하세요.➍ 장기 미이용 시 계정이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로그인을 하세요.➎ 클라우드 서비스 탈퇴 시 제3자 이용 방지를 위해 클라우드 내 자료를 모두 삭제한 후 탈퇴 하세요. 이진석(부산 덕포초 교사 ... ...
- [에디터 노트] 동행의 부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적도 있고, 뜨거운 적도 바다 근처의 해양과학기지를 간 적도 있습니다. 아마 과학동아 장기 독자라면 기억하실 겁니다. 그러던 동행이 코로나19를 만나 뚝 끊겼습니다. 기자들도 가급적 비대면으로 취재를 하던 마당이었으니까요. 3년은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니었나봅니다. 아예 독자와 만나는 일 ...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것이 좋다. 전립선은 바로 앞에 방광이, 그 뒤에는 직장이 있을 뿐 오른쪽과 왼쪽에 다른 장기가 없다. 따라서 90°의 수직형 고정 빔에서 그대로 중입자를 종양에 쏠 수 있다. 고정 빔은 주로 전립선암 치료에 쓰인다. 회전형 빔을 쓰는 ‘갠트리’ 치료실에서는 빔 에너지 조사기가 환자 침대를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