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설"(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가지만 소개한다.1. 세계로 확산한 최초의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가 아닐 수도?현재의 정설에서, 아프리카에서 태어나 세계로 확산한 첫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다. 현대인의 성인에 필적하는 크고 강인한 신체와, 버금가는 크기의 두뇌를 바탕으로 세계 각지의 환경에 적응했으리라는 추정 때문이다.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현생인류가 살게 됐다. 이동 시기와 순서를 두고 아직 논란이 있지만 현재까지 학계의 정설은 이렇다. 문제는 인류가 가장 마지막으로 진출한 아메리카 대륙이다. 콜럼버스가 인디언이라고 불렀던 신대륙인(Paleoamericans)의 기원은 아직도 논란이 진행 중이다.최초의 신대륙인은 클로비스인 ... ...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높아지고 있는 추세지만 아직까진 한 여학생이 남학생 3명의 짝사랑을 받는 게 정설입니다. 일처다부제라고 하죠. 물론 학과마다 성비차이가 커요. 생명공학과 같은 경우는 1:1에 수렴해 ‘꽃밭 생명’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컴퓨터공학과 같은 경우에는 디지털 언어처럼 0 또는 1명의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있다. 이들 일부가 뭍으로 올라오면서 지느러미가 다리로 진화했다는 게 현재 진화론의 정설이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세상에 약 550종의 동물 이 살고 있다고 믿었다. 당시에는 그것도 많은 숫자였다. 2000년이 지나 18세기에 이르자 현대 생물분류학이 체계를 갖 추기 시작한다.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두 개의 틈에서 나온 빛이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빛이 파동이라는 것이 정설이 됐다. 여기에 맥스웰이 빛은 곧 전자기파라는 것을 보였다. 이로써 빛의 본질은 전자기장의 파동이라는 생각이 확립됐고, 맥스웰의 전기역학 이론이 곧 빛의 이론이 됐다.가장 현대적인 빛 이론은 무엇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생물학적 근거를 찾는 데 실패했다. 현재 인류는 ‘호모 사피엔스’ 하나의 종이라는 게 정설이다. 지역 혹은 피부색에 따라 언뜻 다양한 외모와 기질을 지닌 사람들이 있는 것 같지만, 이런 차이는 하나의 종 안에서 70억명이나 되는 인구가 보여주는 다양성이라고 이해하고 있다.사회적으로도 인종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물론 빅뱅이론을 뒷받침하는 관측 결과가 속속 발표돼, 지금은 미흡하지만 그나마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송 박사가 덧붙였다.“결국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은 빅뱅이론의 결점인 ‘특이점’을 없애려는 시도입니다. 우주에 한계 밀도를 가정하고 그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우주가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회절무늬에서 2, 3, 4, 6회 회전 대칭 구조만을 허용하고 그 외의 대칭 구조는 없다는 것이 정설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런 이유로 셰흐트만 교수가 금지된 5회 대칭 구조를 나타내는 준결정을 발견했을 때 학계의 반발이 거셌던 것이다.하지만 셰흐트만 교수는 소신을 갖고 끝까지 주장을 포기하지 ... ...
- 사라지고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네안데르탈의 피가 섞였다는 사실은 2010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을 해독한 이후 정설이 됐다. 그런데 최근 현대인의 유전체를 분석해 그 안에 흩어져 있는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찾고, 게놈 일부를 재조합한 연구가 화제다.미국 하버드대 의대 데이비드 라이히 교수팀은 개인 게놈 프로젝트인 ‘100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발표할 수밖에 없었다. 그는 “당시엔 표준모형에서는 자기홀극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게 정설이었기 때문에 받아들여 지기 힘들었다”고 말했다. 자기홀극이 ‘힉스 이후’를 이끌 진정한 입자라는 말도 덧붙였다. 전자의 전하 크기가 왜 정수배인지 등 물리학의 기본 구조를 쥔 열쇠기 때문이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