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론
정견
정교
d라이브러리
"
정설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어떨까요. 그야말로 인류 역사를 뒤바꾸는 엄청난 일입니다. 지금 인류 진화에서
정설
은 이렇습니다. 몸과 머리가 작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중 일부가 진화를 통해 몸과 머리가 커졌습니다. 또 고기도 먹었습니다. 그러면서 호모 속이 됐고, 아프리카 바깥 세상으로 진출했습니다. 호모 에렉투스가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주장도 나왔다. 지금은 체온 조절용으로 진화됐다가 비행용으로 발전했다는 이론이
정설
이다(과시와 유혹의 목적도 있었을 것이다).깃털이 체온 보호에 탁월하다는 사실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오리털이나 거위털로 겨울에 자신의 몸을 둘러싸고 있는지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실제로는 닭털도 ... ...
의학 - 물리학자가 암 정복에 도전을?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올라간다는 것. 암이 각 개체의 몸 안에서 연속적인 돌연변이를 통해 발달한다는 현재의
정설
에 도전장을 낸 것이다.이 주장에 따르면, 암이 진행될수록 더욱 깊은 곳에 숨어 있는 고대의 유전자가 표현된다. 데이비스 교수는 “암이 진화 과정에서 없어지지 않은 것은 배아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 ...
INTRO. 당신의 뉴턴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시간이 흘렀다.20세기 초, 아인슈타인이 끝까지 반대했던 양자역학은 이제 현대물리학의
정설
로 자리매김했다. 작년(2012년) 7월에는 “힉스 입자를 ‘거의’ 찾았다”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발표가 있었다 (힉스 입자는 ‘표준이론’을 완성할 마지막 단추라 불리던 입자다. 과학동아 2012년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약점이 하나 있었다.바로, 상대론적인 형태가 없다는 것이다.현대물리학은 상대성이론을
정설
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현대물리학 이론으로 타당성을 인정받으려면 상대성이론에 부합하는 형태가 반드시 필요하다.그러나 수정뉴턴역학은 상대론적인 형태가 없었다.기존 뉴턴역학을 ...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넘어가는 술이 많다. 하지만 진짜 ‘작업주’는 오히려 에탄올 함유량이 낮다는 것이
정설
이다. 소주 한 병을 마시기는 어렵지만 소주 한 병을 오렌지 주스1.5L와 섞으면 금세 바닥을 보인다.탄산도 에탄올 흡수를 돕는 좋은 재료다. 혀끝에서 톡톡 튀는 자극 때문에 에탄올의 쓴 맛을 덜 느낄 뿐만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지만 대부분의 영양분은 물이 아닌 기체상태의 이산화탄소로부터 만들어진다는 것이
정설
이다. 식물의 성장과 광합성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한 생각의 토대가 된 최초의 실험이었다.그 후 영국의 화학자이자 신학자였던 프리스틀리(Joseph Priestley)가 위가 막힌 종 모양의 병에 공기를 가둬 두고 그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발가락은 이종이 걸었을 뿐 아니라 나무도 탔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20세기 후반에
정설
로 인정받던, ‘최초의 인류는 직립보행을 했다’는 가설이 위태로워진 것입니다.주변 생태를 연관지어 보면 문제가 더 커집니다. 학자들은 인류가 온전히 직립보행만 하게 된 이유가 500만 년 전 아프리카의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몸이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런 생기론은 1900년대에 신경계의 작용이 밝혀질 때까지
정설
로 인정받았다.17세기 프랑스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는 생기론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모닥불 옆에 있다가 뜨거운 불똥이 다리에 튀면 무의식적으로 다리를 치우게 된다. 데카르트는 이와 같은 동작이 ... ...
Part 1. 털, 동물은 입고 인간은 벗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대부분 체구가 작고, 흉포한 공룡의 눈을 피해 땅에서 살살 기면서 살았다는 것이
정설
이었다. 그런데 육지뿐 아니라 물 속에서 사는 포유류가 있다는 사실은 처음 밝혀졌다. 당시 포유류 생태계가 오늘날처럼 다양하고 풍성했다는 뜻이다.그런데 내 시선을 더 사로잡은 특징이 있다. 선명한 털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