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포자"(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생존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수온이 높고 염분이 낮아 돼지피부의 부패가 빠를수록 파래포자의 생존률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는 한국해양과학수사학회지 창간호(2016년 1월호)에 실렸다.단서 3 마지막 바닷가재많은 사체는 물 위로 떠오른다. 하지만 모든 사체가 물 위로 떠오르는 것은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퍼져 나가 계속 번식하게 된다. 반면에 어떤 아메바들은 기꺼이 자기 목숨을 던져서 포자를 떠받쳐주는 받침대가 된다. 물론 인간 사회의 고결한 헌신과 봉사, 자기희생을 빼놓을 순 없다. 내전으로 황폐해진 아프리카 수단의 톤즈에 자원해 고아와 나병 환자들을 돌보다 타계한 이태석 신부의 삶은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거칠까요? 식물에 속하는 해조류도 씨앗에 해당하는 포자를 물살에 흘려보내요. 그럼 포자가 싹을 틔우고, 자라기 좋은 곳에 정착하지요. 즉 동물이든 식물이든 거의 모든 해양 생물들은 플랑크톤에서 시작한답니다. 순환, 먹이사슬의 시작과 끝크기도, 모양도 다양한 플랑크톤! 5년 동안 계속 ... ...
- [과학뉴스] 좀비 개미의 최후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오르게 하는가 하면, 다른 개미집에 포자를 떨어뜨리기 쉬운 곳에 찾아가 죽게 만든다. 포자가 터져 날아가면 다른 개미에게서 같은 불행이 반복된다. 미국의 사진작가인 아난드 바르마가 촬영한 이 사진은 월드 프레스 포토 재단이 선정하는 2015년 최고의 보도사진 ‘자연’ 부문 대상으로 뽑혀, ...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최근 미국 가이젤의대 제이 던랩 교수팀은 귀신버섯이 내는 빛이 곤충을 더 불러들여 포자를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어요.연구팀은 우선 버섯을 채취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며 관찰했어요. 그 결과, 가장 빛을 많이 내는 시기는 22시간을 주기로 돌아온다는 것을 알아냈답니다. 그 뒤 ...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탄저균은 흙속에 서식하는데, 환경 조건이 나빠도 분말 포자 상태로 10년 이상 생존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가열이나 소독에도 강한 저항성을 나타낸다(주한미군은 표본을 락스 성분의 표백제에 넣어 폐기했다고 발표했다).공기를 통해 전염된다는 것도 탄저균의 무서운 ... ...
- 메르스보다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테러 물질로 치사율이 80%에 이르고 공기 중으로 전파된다. 고온, 냉동 환경에서도 분말 포자 상태로 10년 이상 살아남는다. 중동에서 들어온 메르스(MERS) 바이러스보다 훨씬 무시무시한 존재인 셈이다. 불필요한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전쟁용 살상무기가 홈쇼핑에서 주문한 물건처럼 택배로 ... ...
- [과학뉴스] 과학자가 말하는 과학의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없이는 도무지 정체를 알 수 없는 사진도 있다. 하얗게 핀 예쁜 꽃은 사실 누룩곰팡이의 포자다(➌). 곽현정 세계김치연구소 연구원의 작품이다. 이종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은 콘크리트의 미세구조를 500배 확대했다(➍). 콘크리트가 굳을 때 생기는 불순물(가운데 검은 원)마저도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중에서도 씨앗으로 번식하는 식물을 ‘해초’라고 부르지요. 해초가 아닌 해조류는 ‘포자’라고도 부르는 ‘홀씨’로 번식을 한답니다. 홀씨는 암술과 수술이 만나 생기는 씨앗과 달리, 혼자서 번식할 수 있는 세포를 말해요. 육상에 사는 고사리 같은 양치식물이나 이끼류, 버섯도 홀씨로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끝없는 노력이라고 할까. 사실 우리 소나무도 배아를 보호하려고 갖은 노력을 했다. 포자를 날려 번식하는 고사리 같은 식물보다는 우리가 배아를 더 잘 보호했다. 그런데 우연히 탄생한 꽃이 우리보다 한 수 위인 것 같다. 그럴 수 밖에. 꽃은 밑씨를 씨방 벽으로 감싼 것으로 모자라, 서로 떨어져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