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홀씨
연자
아포
foggia
d라이브러리
"
포자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속의 보물, 버섯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7호
일종인 자갈버섯. 사람의 대변을 양분으로 자라는 경우가 많다. 사람이나 동물이 밟아야
포자
를 날릴 수 있는 말불버섯. 독버섯인 어리알버섯과 닮았다. 예쁜 주황색을 가진 황고무버섯. 축축한 고목에서 자라는 작은 버섯으로, 먹을 수 없다.버섯, 제대로 알자!숲을 열심히 돌아다니면서 정말 많은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억겁의 시간을 거치면서 지금까지 살아남은 이유이기도 하다.대형 조류는 기본적으로
포자
로 번식하는 무성생식 세대와 배우자가 접합하여 번식하는 유성생식 세대가 있으며, 무성세대와 유성세대를 교대로 거치는 세대교번을 하게 된다. 반면 단세포인 식물플랑크톤은 세포분열 그 자체가 바로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지의류를 이룬 것처럼 말이야.조류는 해캄과 같은 생물로 물속에 살면서 광합성을 하고,
포자
로 번식하는 생물을 말해. 우리 둘이 만나 만드는 지의류는 돌이나 나무에 벗겨진 페인트처럼 붙어 있거나 잡채에 들어가는 석이버섯처럼 생겼지.전세계에 무려 2만 종 이상의 지의류가 살고 있어. 우리 ... ...
효모 인공
포자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단세포 생물인 효모의 세포표면을 코팅해 인공
포자
로 만드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효모를 이용해 진단이나 유해물질 검출에 ... 이해신 교수팀과 서울대 정택동 교수팀도 참여했다. [단세포 생물인 효모를 인공
포자
로 만드는 연구결과가 미국화학회지의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늘리도록 건물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얘기다. [집에 곰팡이가 번식하면 공기 중에
포자
가 둥둥 떠다녀 재채기와 천식, 기관지염, 피부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다.]전문가들은 사람이 건강하려면 한 주에 5일 동안 매일 30분씩 빠르게 걸어야 한다고 말한다. 코언 스티멀스 영국 케임브리지대 건축과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채
포자
를 만들죠. 그 결과
포자
는 박테리아를 지니고 이동합니다. 새로운 환경에서
포자
를 깨고 나온 아메바는 동반한 박테리아가 증식하면 이를 잡아먹고 살아가죠.사회자: “그게 뭐 농사냐?”하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농사란 결국 먹을 수 있는 걸 다 먹지 않고 남겨뒀다가 수를 늘려 먹는 행위 ... ...
마법? 과학! 스스로 고치는 콘크리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50년 이상 살 수 있지요.콘크리트에 금이 가서 그 사이로 물이 들어오면 바실루스
포자
의 껍질이 열리면서 활동을 시작해요. 이 때 먹이인 젖산칼슘을 먹고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결합해 ‘방해석’이라는 돌을 만든답니다. 바로 이 방해석이 콘크리트의 틈을 메우는 거예요.이번에 개발된 콘크리트만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가위개미는 잘라서 가져간 잎을 입으로 씹어서 부드럽게 만든 뒤, 그 위에다
포자
를 뿌려서 곰팡이 농사를 짓지. 무려 5000만 년 전부터 이렇게 곰팡이 농사를 지어 왔단다. 그러니 사람은 물론 지구상에 사는 모든 동물들 가운데 농사를 가장 먼저 시작한 거야. 정말 놀랍지?잠깐! 고추가 매운 이유는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조종한다는 보고는 없다. 사람을 잡아먹는 포식자숙주가 없기 때문일 수도 있고 톡소
포자
충이 조종하기에 사람의 뇌 네트워크가 너무 복잡할 수도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 내용은 없다.RECIPE 2 시체의 뇌에서 신경조직을 재생시킨다‘어둠의 마법’으로 저주받아 부활한 시체들. 밤마다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신경을 조종한다. 비슷한 예로 톡소
포자
충에 감염된 쥐는 고양이를 무서워하지 않는다.
포자
충이 고양이로 들어가려고 쥐를 조종하기 때문이다.그 밖에 스타크2에는 변신수(Changeling)라는 재미있는 유닛이 있다. 변신수는 몸 색깔을 처음 마주친 상대편의 색으로 바꾼 뒤 해병이나 광전사(Zealot) 같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