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험집
결점
결함
흠
d라이브러리
"
흠집
"(으)로 총 10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볍씨 발굴 이융조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비닐이 나왔다, 볍씨가 토탄층으로 흘러들어온 거다, 정말 벼가 맞느냐는 등 내 연구에
흠집
을 내려는 일들이 벌어졌어요.이런 얘기를 들으니까 화가 나고 오기도 생기고 해서 99년에 선사유적 발굴도록을 냈어요. 그리고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하나하나 반박해나갔습니다. 볍씨 자체의 연대를 ... ...
우리가 잘 모르는 보석 이야기 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쇠에도 금을 그을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날카로운 칼이나 송곳으로도 다이아몬드에는
흠집
하나 낼 수 없다. 그렇다면 도대체 다이아몬드는 어떻게 연마·가공됐을까. 다이아몬드 결정은 방향에 따라 경도가 조금씩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경도가 낮은 방향을 찾아 그 방향으로 다른 다이아몬드를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종합 선물세트라 할 수 있다.고담시 최고의 재벌인 브루스 웨인의 재산은 기관총에
흠집
도 나지 않는 고무 갑옷과 3단 변신 로봇을 능가하는 슈퍼카에 대해 “돈 많은 놈이 무엇을 못하겠어”라는 관객들의 합의를 이끌어낸다.우리의 사회가 영웅을 필요로 하는 데에는 크게 두가지 이유가 있다.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머리뼈는 철갑탄이 아니면 뚫을 수 없을 정도다. 기관총으로는
흠집
조차 낼 수 없던 탱크에게 뚜껑을 뜯어버리겠다고 맨몸으로 덤비는 쿠사나기 소령의 모습을 보면 기계화된 육체에 대한 그의 자신감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쿠사나기 소령의 능력 중 필자가 가장 ... ...
Ⅲ 야구공 투수에게 유리한 공 타자에게 유리한 공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가능한 표면을 더 거칠게 하기도 했다. 물론 이것은 반칙이다. 만약 투수에게 공에 어떤
흠집
을 내거나 첨가물을 붙여도 된다면 지금보다 더 빠른 공이 등장하지 않을까.하지만 표면 공기층의 저항 감소 효과는 언제나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보통 시속 2백20km의 속도를 기준으로 이보다 느린 ... ...
Ⅱ 투수 헛스윙 유도하는 주무기 변화구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이라고 한다. 다른 스핏볼의 예로는 공의 실밥 효과를 인위적으로 더 주기 위해 일부러
흠집
을 내거나 껌 등의 다른 물질을 붙이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5cm 크기로 자른다. 그리고 48cm의 가로 부분을 20cm, 8cm, 그리고 20cm 세 부분으로 나눠, 칼로
흠집
을 낸다.② 하드보드지 가운데 부분에 카메라 렌즈가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구멍을 낸다. 하드보드지를 ㄷ자 모양으로 구부린다.③ 우드락을 20cm×25cm 크기로 두장을 자른다. 하드보드지 양면에 우드락을 ...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껍질은 인간이 만든 어떤 소재보다 더 가벼우면서도 단단해 여간해서
흠집
이 생기지 않는다. 딱정벌레 껍질로 만들어진 군복을 군인이 입는다면, 전쟁에서 무적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집안 구석에 나타나면, 눈을 찌푸리게 만드는 바퀴벌레도 첨단 소재를 갖고 있다. 바퀴벌레의 껍질은 휘발유에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이루어진다. 전 박사는 특히 중요한 주거울의 코팅작업을 주도한다. 거울에 단 하나의
흠집
도 없이 완전한 반사면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전문기술자가 필요하지만 그는 이 일에 이미 전문가가 돼 있다.주거울을 떼 내고 붙이는 일과 이를 코팅실로 옮기는 일 또한 만만치 않다. 주거울은 무게만 1. ... ...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정도가 존재했을 뿐이다.철저했던 검시전통 사회에서는 의학적 이유라 하더라도 시체에
흠집
을 내는 것은 금기에 속했다. 이에 대해 두가지 사례를 들어보자. 첫째는 허준과 동시대의 인물인 전유형에 관한 것이다. 그는 임진왜란 중 뒹구는 시체를 해부하고 장기를 관찰해 오장도를 그렸다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