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뉴스
"
고대
"(으)로 총 991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크라테스 기능이란?' 선생님이 알려주는 과학동아 AiR 실전활용법
2024.12.21
익히고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다. 과학동아AiR 캡처 "소크라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소크라테스 문답법은 소크라테스가 개발한 대화 방법입니다. 상대방에게 질문을 던져 스스로 무지를 깨닫게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알려진 플라톤의 ... ...
백악기 시대 악어, 심해 잠수 못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21
부비동은 꾸준히 커졌어요. 연구를 이끈 마크 영 사우스햄튼대 교수는 "두
고대
악어는 고래와 달리 몸속 소금기를 배출하기 위해 큰 부비동을 갖도록 진화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2월 15일, [4컷만화] 큰 부비동이 가로막은 백악기 악어의 심해 ... ...
현대인이
고대
인류보다 잘 달리는 비결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뼈와 발자국 화석 연구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320만년 전에 살았던
고대
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학명 Australopithecus afarensis)'의 화석 '루시'의 골격을 바탕으로 3D 디지털 모델을 만들었다. 루시는 1974년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돼 올해 50주년을 맞은 고인류 화석의 ... ...
[의학바이오게시판]
고대
안암병원, 다빈치5 아시아 최초 도입 및 첫 수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16일 고려대안암병원에서 열린 '수술용 로봇 신형 다빈치 추가 도입 및 로봇수술센터 확장 기념식'에서 참가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고려대학교병원 제공 ■ 고려대안암병원은 16일 아시아 최초로 로봇수술기기 '다빈치 5(da Vinci 5)'를 도입하고 첫 수술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다빈치 5는 기존 ... ...
[표지로 읽는 과학] 구토물·배설물 화석, 공룡이 포식자된 이유 설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14
알 수 있다. 과학자들이 공룡의 구토물과 배설물 화석을 분석해 공룡이 어떻게
고대
생태계의 포식자가 됐는지 밝혀냈다. 화산 활동이 증가하고 환경이 변화하면서 초식 동물에서 다양화, 대형화가 일어났고 초식 동물을 먹이 삼는 거대한 육식 공룡이 등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제고시 ... ...
[의학바이오게시판] 유영동 교수, 로봇수술학회 우수비디오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수상한 유영동 고려대안암병원 교수(오른쪽에서 2번째)가 수상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고대
안암병원 제공. ■ 고려대안암병원은 유영동 간담췌외과 교수가 ‘2024 세계임상로봇수술학회’ 학술대회에서 우수 비디오상을 수상했다고 9일 밝혔다. 유 교수는 단일공 로봇수술장비 다빈치 SP를 이용한 ... ...
20억 년 된 암석 '타임머신'에서 발견된 미생물
과학동아
l
2024.12.07
유기체가 들어오거나 내부에서 나갈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발견으로
고대
지층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미생물의 기록은 단숨에 19억 년이 늘어났다. 지금까지 살아있는 미생물이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지질층은 남태평양 심해에 쌓여있던 1억 150만 년 된 퇴적층이었다. 외부와의 접촉 ... ...
80만 년 전부터 이어진 인류의 탄수화물 사랑
과학동아
l
2024.11.30
발견했다. 이를 토대로 68개
고대
인류의 유전자를 분석해 AMY1을 식별했다. 분석 결과
고대
인류는 농업을 시작하기 훨씬 전부터 이미 세포당 평균 4~8개의 AMY1 사본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에서도 AMY1 유전자 복제가 있었다는사실이 밝혀졌다. 연구에 참여한 김권도 ... ...
공룡이 최고 포식자 된 이유, 구토·배설물 화석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Marcin Ambrozik 제공 과학자들이 공룡의 구토물과 배설물 화석을 분석해 공룡이 어떻게
고대
생태계의 포식자가 됐는지 밝혀냈다. 화산 활동이 증가하고 환경이 변화하면서 초식 동물이 다양화, 대형화했고 이를 먹이로 삼는 거대한 육식 공룡이 등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제고시 니에즈비에츠키 ... ...
수천년 전 초강력 태양폭풍, 나무 나이테에 흔적 남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of Arizona 제공 연구팀은 강둑에 묻힌 죽은 나무나 고고학 발굴 과정에서 나온 목재 등
고대
의 나무 샘플에서 수술용 칼로 나이테를 해부했다. 목재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를 태워 나이테에 포함된 탄소 동위원소 함량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탄소-14의 함량이 급증하는 '스파이크'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