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세계 최고 정밀 길이 측정기술 확보…국제표준 주도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KRISS 길이형상측정그룹 선임연구원은 "AI반도체·양자기술 등 미래 산업의 경쟁력은
나노
미터 단위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지에 달렸다"며 "이번 성과는 우리나라가 차세대 길이표준을 제시하는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KRISS ... ...
고효율 차세대 전해질 신소재 개발…"웨어러블 기기에 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수 있는 원천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
나노
마이크로 레터(Nano-Micro Letters)' 최신호에 게재됐다. -doi.org/10.1007/s40820-025-01700-9 ... ...
초고해상도 영상기법으로 미토콘드리아 움직임 실시간 관찰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조절, 세포 내 신호 전달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소기관이다. 크기는 수백
나노
미터에서 수 마이크로미터로 광학 현미경의 해상도 한계에 가까운 크기다. 미토콘드리아의 조직 밀도가 높거나 움직임이 많으면 정밀한 영상을 획득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빛으로 인한 손상과 변색을 ... ...
청정수소 품은 암모니아 분해 효율, 신개념 촉매로 3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모두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구기영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기존
나노
촉매 제조의 복잡성과 비용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한 실용적 방법”이라며 “향후 펠릿 형태의 촉매 양산과 실제 시스템 적용을 통해 상용화를 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 ...
정수화 LG전자 부사장 "뿌리기술 인재 부족…공동연구할 대학 연구실도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교수는 전자현미경 분야의 권위자로 현재 노벨물리학상 선정위원을 맡고 있다. 그는 수
나노
미터(nm, 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뾰족한 금 구조체 끝부분에서 금 원자가 기화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한 현미경 영상을 소개하기도 했다. 올슨 교수는 "현미경과 분석 분야에서도 데이터 처리·해석과 ... ...
[사이언스게시판] 2~4일 '
나노
코리아 2025'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2012년 삼성호암상 수상자인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가 각각 ‘퀀텀닷(양자점)’과 ‘
나노
기술’을 주제로 강연한다. 강연은 호암재단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 ...
빛 적응 위해 인간 시각 시스템 모방한 로봇 눈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눈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2일 국제학술지 '응용 물리학 레터스'에 발표했다. 양자점은
나노
미터 크기의 초미세 반도체 입자를 의미한다. 사람은 밝은 빛이나 칠흑 같은 어둠 속에 머물면 몇 분 안에 빛 조건에 적응하게 된다. 눈, 시신경, 뇌 신경세포 등 인간 시각 시스템이 빛 변화에 적응하도록 ... ...
생체노폐물 요소 활용해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자석이나 레이저 등 외부 제어장치 없이 세포 주변의 물질만으로 자가 추진이 가능하다.
나노
껍질에 다양한 효소를 접합할 수 있어 요소뿐 아니라 다른 물질을 연료로 쓰는 세포로봇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연구 제1저자인 김아영 KAIST 화학과 박사과정생은 "자가 추진 세포로봇은 스스로 환경을 ... ...
수소 공급 없이 자일로스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5.06.29
많이 필요하다는 점이 한계다. 연구팀은 올해 3월 지르코니아(ZrO₂) 지지체에 백금
나노
입자를 고르게 분산시킨 촉매를 선보였다. 지르코니아가 백금을 잘 붙잡는 역할을 하며 5회 이상 재사용 후에도 80% 이상의 높은 전환율이 유지돼 일반적인 탄소 지지체 대비 촉매 수명이 우수했다. ... ...
녹인 설탕 첨가해 친환경·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사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중에서는 최고 기록이다. 성균관대는 전일 성균
나노
과학기술원 교수팀과 김동석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이 공동 연구를 통해 천연재료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