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네랄
광물
광석
미네럴
뉴스
"
무기물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첨가물 바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내구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사이언스 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값싼
무기물
과 유기물을 혼합해 만들기 때문에 저렴하고 저온에서 용액 공정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의 뒤를 이을 차세대 태양전지 후보로 꼽힌다. 태양전지의 핵심은 태양광을 직접 흡수해 ... ...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전극 저온 제조 실현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전극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유기물과
무기물
특성을 모두 지닌 소재다. 빛을 잘 흡수하는 특성이 높아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 받고 있다. 태양전지로 쓰려면 전극이 필요한데, 특히 원자 두께의 얇은 탄소 신물질 그래핀이 투명 전극 재료로 널리 ... ...
아파트 짓듯 수직으로 쌓은 유기물 트랜지스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전류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광물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물
을 이용한 반도체로 트랜지스터를 만들었는데 유연성이 떨어져 휘거나 늘어나는 성질이 부족했고 구조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화학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 있어 저렴하고 다양한 ... ...
효율 2배 높인 유기태양전지 대량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태양전지와 함께 3세대 태양전지로 분류된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유기물과
무기물
을 합성해서 만드는 반면, 유기태양전지는 메로시아닌 등 유기물만 재료로 사용한다. 유기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달리 재료 특성상 가볍고 유연하며 제조단가가 저렴한 게 특징이다. ... ...
해수 담수화에 쓰이는 '분리막' 오염 실시간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막 증발법으로 담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해수와 접촉하는 분리막에 각종 입자나 유∙
무기물
과 같은 오염물질이 부착되거나 침투하면 분리막의 틈이 막혀 담수 생산 속도가 느려진다. 이를 ‘막 오염’이라 부른다. 또 수증기만 통과해야 하는 소수성 분리막을 해수가 직접 통과하는 '막 젖음'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11.14
전극으로 이동하면서 에너지 준위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전류가 흐른다. 특징 |
무기물
과 유기물이 섞인 하이브리드 태양전지다. 최근 몇 년 새 전기 변환 효율이 가파르게 상승해 일부 연구자들은 노벨상 수상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 공정 과정과 구조를 개선해 가격을 낮춰야 하는 숙제가 ... ...
휘는 디스플레이 '보호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9
것과 같은 원리다. 이 연구원팀은 고분자 막을 먼저 만든 뒤, 분자 사이 사이의 틈으로
무기물
분자를 춤투시켜서 화학결합을 시키는 새로운 방법에 주목했다. 먼저 고분자 물질로 두터운 막을 입힌 뒤, 그 위에 높은 압력을 가해 기체 상태의 산화 알루미늄 분자를 침투시켰다. 그 결과 고분자 ... ...
효율높고 열에도 강한 태양전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있었지만 실제 연구가 이뤄진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나마 열 안정성이 높은 것이 ‘
무기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도입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효율이 낮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장점을 100% 살릴 수 없었다. 박 교수팀은 태양전지 내의 전자 전달층을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빨간약' 포비돈 요오드, 진짜로 만병통치약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6
책 ‘재난이 닥쳤을 때 필요한 단 한 권의 책’을 보면 요오드는 질소화합물과 유기물,
무기물
과 쉽게 합쳐져 오염된 물을 맑게 한다. 만병통치약으로 불리는 빨간약, 실제로도 만병통치약인 셈이다(물론 두통은 안돼요~) *원문출처 : 과학동아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505N04 ... ...
어두워지면 변하는 ‘두 얼굴의 반도체’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새롭게 발견했다. 연구 총책임자인 나카무라 아쓰토모 나고야대 재료물리학과 교수는 “
무기물
반도체의 성질을 빛이 없는 조건에서 연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유도 밝혀졌다. 황화아연 결정이 변형될 때, 결정 내부에는 ‘전위(dislocation)’라는 일종의 구조적 결함이 발생한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