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네랄
광물
광석
미네럴
뉴스
"
무기물
"(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첨가제 하나로 리튬 금속 전지 짧은 수명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나노 질화규소를 전해질에 첨가해 리튬 이온의 용매화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했다. 또
무기물
이 풍부한 안정적인 고체전해질 계면 층을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 질화규소는 전해질의 분해로 발생하는 부식성 불화수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해 양극 부식을 억제했다. 고전압 환경에서도 계면 안정성을 ... ...
[사이언스영상] 지구 생명체 어떻게 시작됐을까
SEIZE
l
2025.03.29
1952년 해롤드 유리와 스탠리 밀러는 원시 지구 바다와 같은 환경에 번개가 치면
무기물
이 유기물로 바뀐다는 것을 보여줬다. 하지만 원시 지구에 번개가 드물었고 바다가 너무 넓었기에 가능성이 낮다는 비판이 많았다. 연구팀은 물방울이 서로 충돌해 더 작은 물방울로 나뉠 때를 관찰했다. 큰 ... ...
"우주산업서 한국만의 경쟁력, 우주 태양전지에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때 필요한 광(光)흡수 물질이다. 플렉셀스페이스가
무기물
페로브스카이트로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다. 안 대표는 "개발 중인 태양전지가 145℃~영하 170℃를 넘나드는 극한 환경 실험에서 효율이 32시간 동안 떨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안 대표는 개발한 ... ...
충·방전 시 팽창하는 실리콘 음극재 해결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분리막에 악영향을 끼쳐 배터리 수명과 용량 확보에 어려움이 생긴다. 연구팀은
무기물
기반 고강도 분리막 설계 등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았다. 실리콘 음극재 소재만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막 등 다른 소재와의 조합을 생각해 전체적인 배터리 시스템 관점에서 문제 해결 ... ...
20억 년 된 암석 '타임머신'에서 발견된 미생물
과학동아
l
2024.12.07
내부에서 살아왔다는 뜻이다. 이 미생물들은 점토 광물에서 생존에 필요한 유기물이나
무기물
을 대사했으리라 추측된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균열 근처의 틈새는 점토로 막혀있어 외부에서 유기체가 들어오거나 내부에서 나갈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발견으로 고대 지층에서 발견된 ... ...
탄산음료의 치아 부식 과학적 예방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5
유지했다. 연구팀은 “이는 SDF가 치아와 뼈의 구조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무기물
인 플루오로아파타이트 피막을 형성하고 이 피막이 보호층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김영재 서울대 소아치과 교수는 “이 기술은 어린이와 성인의 치아 부식 예방 및 치아 ... ...
구부리거나 돌돌 말아도 문제없는 태양전지·광센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7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기계적 유연성이 뛰어난 유기물과 기계적 강도가 높은
무기물
을 이중으로 코팅한 새로운 박막 소재를 개발해 유연 소자가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물리적·화학적 스트레스를 이겨내도록 했다. 해당 소재는 투명전극과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등의 활성층 사이에 ... ...
하폐수 발생한 곳에서 바로 방류하는 처리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유동식 반응기' 방식을 도입했다. 현장에서 난분해성 유기물을 산화·분해해 빠르게
무기물
화한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전 처리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유기물을 완전 분해할 수 있다.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에 담긴 50pm(피코미터, 1조분의 1미터)의 유기탄소량을 2시간 만에 93% 낮추며 완전 ... ...
사람 체온·공장 배관에서 에너지 수확하는 섬유형 열전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수 있지만 전기전도성이 낮고 열 저항이 강해 성능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순수
무기물
로 만든 섬유형 유연 열전소재 연구 개략도(위) 및 실제 열전 섬유 이미지. KAIST 제공 연구팀은 무기 열전 소재를 실 형태로 만들어 한계를 극복했다. 나노 리본을 전자빔으로 연속 증착한 뒤 이를 실 형태로 ... ...
[과기원NOW] KAIST, 故백문기 기증작품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03
산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다중 효소 반응기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생촉매는
무기물
촉매와는 달리 폐가스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에 접해도 기능이 유지된다. 매개 효율은 기존 효소 반응기보다 200% 향상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지난달 3일 온라인 게재됐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