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위취
개폐기
전환기
스윗
스윗치
switch
스위치무역
뉴스
"
스위치
"(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AI로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와 기존 약물 반응 분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서병창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우리 몸 속
스위치
역할을 하는 G단백질의 주기가 G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구조변화에 실시간으로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GPCR은 냄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박혀있다. 연구자들은 생쥐에게 빨간빛을 내는 마이크로LED가 달린 조끼를 입혔다.
스위치
를 켜면 빨간빛의 일부가 피부를 투과해 심장까지 도달해 통로단백질이 열려 세포 바깥의 양이온이 안으로 들어오며 신호가 발생한다. 그 결과 심박수가 평소(분당 660회)보다 36%나 빨라져 분당 900회에 ... ...
[씨즈더퓨쳐] 먹는 남성 피임약 개발 과학자에게 직접 들었다
2023.02.26
켜는 ‘
스위치
’ 역할을 한다. 우리가 개발한 약은 이
스위치
가 켜지지 않도록 막는다.
스위치
를 막을 수 있는 약물을 다양하게 시험해봤고, 그중 가장 효율이 높았던 건 TDI-11861이라는 물질이다. " 정자가 정액으로 나올 때 움직이기 시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영상. / 인스타그램 @seize.the.future 캡쳐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세포 사이의 접합을 제어하는 구조인 접착연접이 순차적 절단 과정의 순서를 결정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노치 신호 제어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노치 수용체와 리간드(수용체와 결합해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간 상호작용과 수용체의 첫 번째 절단 과정은 접착연접 구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차이를 구현했다. 즉 전기장을 가해 이온이 빠져나간 상태에서 EC의 어는점은 35도이지만
스위치
를 꺼 NaI가 유입돼 섞인 상태에서는 어는점 내림으로 6.4도까지 내려갔다. EC 결정이 녹으며 흡수하는 열에너지는 204줄(J)로 얼음이 녹아 물이 될 때 흡수하는 열에너지 330J에는 못 미치지만 꽤 컸다. ... ...
분노는 ‘팡’ 터지지 않고 서서히 끓어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것이다. 연구진은 “분노를 느끼고 공격성을 지시하는 뇌의 시상하부는 끄고 켜는
스위치
보다는 서서히 음량을 올리는 볼륨 조절기와 가깝다”며 "볼륨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마치 그릇에서 물이 넘치는 것처럼 공격 행동이 표출된다"고 설명했다. 공격성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뇌의 ... ...
원안위, 신월성 2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9.20
원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동발전기 2대 중 1대의 전압을 높이는 과정에서 전압조정
스위치
내 가변저항기가 고장 나 전압이 급격히 낮아져 출력차단기가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후 정비를 마치고 전동발전기를 재투입하는 과정에서 두 발전기의 전압이 동기화되지 않아 과전류가 발생하며 ... ...
7분의 1 전력으로 작동하는 삼진회로 스위칭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8
위), 반양극성
스위치
소자의 단면 투과 주사 현미경(TEM) 이미지(왼쪽 아래), 반양극성
스위치
의 전기적 특성(오른쪽) 포스텍 제공 이번에 개발된 소자는 피크-벨리 전류비가 106로 우수하고 칩 단위의 대면적 공정이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한다는 점에서 삼진회로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데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빛 본지 10년...세상에 없었던 치료법이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1
혈액세포를 추출한 뒤 크리스퍼 기술을 이용해 태아 헤모글로빈 유전자 작동을 멈추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부위를 잘라냈다. 이렇게 유전자 교정된 혈액세포를 환자에 다시 주입해 손상되지 않은 헤모글로빈이 풍부한 적혈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했다. 임상 결과 베타 지중해 빈혈로 치료받는 4 ... ...
대기전력 소모 없는 6G용 통신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속도인 초당 100Gbit(기가비트)의 속도를 만족한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개발한 아날로그
스위치
는 끊기지 않는 AR·VR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 변조 기술도 구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신호 변조는 신호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전파를 적합한 주파수나 파형으로 바꾸는 과정을 말한다. 김 교수는 “6G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