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제
과립
과립제
혈구
Caplet
환약
뉴스
"
알약
"(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시 세상 밖으로"…인간 적응력 시험 40일간 동굴 생활
연합뉴스
l
2021.04.26
수면 패턴과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반응 등을 살폈다. 센서 중 하나는 참가자들이
알약
처럼 삼켜 체내에서 배출될 때까지 체온을 측정해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을 했다. 참가자들은 또 동굴에 들어가기 전 두뇌활동과 인지기능 등을 측정했으며 동굴에서 나온 뒤 측정치와 비교해 연구가 진행될 ... ...
[프리미엄 리포트] 2021년 '흰소의 해' 소도 스마트 맞춤 관리받는다
과학동아
l
2021.01.01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국내 기업 유라이크코리아는 소의 질병을 감지할 수 있는
알약
형태의 캡슐을 개발했다. 소가 삼키면 이 바이오 캡슐은 소의 반추위로 들어가 안착하도록 설계했다. 소의 위 구조상 캡슐은 소화되지 않고 반추위에 남는다. 이 속에서 캡슐은 체온, 활동량, 위 산성도(pH) ... ...
해열제를 먹고 화장실로 가게 된 사연
팝뉴스
l
2020.12.30
아파서 화장실을 들락거리게 되었다. 원인은 약을 잘못 먹었기 때문이다. 해열제
알약
은 변비약과 모양이 거의 비슷했다. 게다가 병 모양도 흡사해서 어두운 곳에서는 구별하기 힘들었다. 사진 공개자는 “약을 조심해서 먹어야 한다”고 네티즌들에게 강조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사람 중심의 ‘인공지능 윤리기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알약
과 시계, 로봇 일러스트.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이 코로나 신약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있음을 상징한다. IEEE 스펙트럼 제공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는 정부와 공공기관, 기업, 이용자 등 사회 전체 구성원이 인공지능 개발~활용 전 단계에서 함께 지켜야 할 윤리 원칙과 핵심 요건을 담은 ... ...
[과기장관회의] 실험실 기술 3년내 시장 진출 돕는 '중개연구단' 내년부터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알약
과 시계, 로봇 일러스트. 실험실 기술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이 제14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됐다. IEEE 스펙트럼 제공 아직 초보적 단계에 있는 ‘실험실 기술’을 3년 이내에 시장이 필요로 하는 기술로 성숙시키도록 분야별 ‘중개연구단’이 내년부터 가동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꾸준히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4장 ‘건강하게 장수하는 법’보다 5장 ‘먹기 좋은
알약
’에 더 눈길이 가는 이유다. 코로나19가 지나가면 겸사겸사 태국에 한 번 다녀와야겠다. 칼로리 제한(50%) 8일차에 채취한 혈액 시료의 대사체 분석을 통해 농도 변화를 보인 대사물질 사이의 상호관계를 ... ...
ADHD 치료제 '공부 잘하는 약'으로 둔갑?…의료기관 11개 적발
연합뉴스
l
2020.09.29
C 환자는 2018년 5월부터 2020년 6월까지 26개월 동안 의원 두 곳에서 메틸페니데이트 성분
알약
2만1천966정을 처방받아 총 241회에 나눠 투약했다. 식약처는 마약류 취급 보고 의무를 위반한 1개 기관에 대해서는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을 의뢰했다. 의료용 마약류 불법 사용이 의심되는 ... ...
[코로나19 연구속보] 인공지능, 코로나와의 전쟁 끝낼 주력군 양성한다
2020.09.25
코로나 대유행 상황에서는 일일이 병원에 가서 정맥주사를 맞는 약보다 집에서
알약
으로 먹는 형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글로벌 IT기업들은 AI 업체들의 신약 개발에 컴퓨터 자원을 지원했다. 인터넷 가상 서버업체인 구글 클라우드는 지난 6월 슈뢰딩거에 1600만 시간 상당의 엔비디아 GPU ... ...
코로나19와 독감 무엇이 다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항바이러스제는 모두 정맥주사 형태여서 병원에서만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반면 독감은
알약
형태의 항바이러스제가 나와 있어 처방전만 있으면 집에서 복용할 수 있다. 코로나19는 백신을 개발 중이지만 독감은 백신이 나와 있어 매년 접종만으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차이다. ... ...
몸속 아픈 곳 찾아가 약 주고 스르르 녹는 초소형 캡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29
발표했다. 약물의 경구 투여나 주사형 방식은 몸 전체에 약물이 퍼진다는 문제가 있다.
알약
을 이용한 경구 투여방식의 경우 몸 속에 필요한 부위에 약 5%만 전달된다. 이에 따라 약물을 직접 전달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들이 이어져왔다. 하지만 기존 방식들은 약물 전달체를 사용 후 제거해야하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