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쇠퇴
퇴보
저하
퇴폐
저락
악화
뉴스
"
퇴화
"(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
2021.01.26
발생과정을 살펴본 결과 태아 초기에는 폐가 제대로 발생하지만(왼쪽 빨간색) 자라면서
퇴화
해(가운데 빨간색) 성체에서는 흔적 기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오른쪽 빨간색). 폐가 있어야 할 공간을 대신 지방 기관(녹색)이 차지하고 있다. 어류와 육상동물의 과도기적 성격을 연구할 때 현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공룡 등쌀에 기를 펴지 못했고 오랫동안 작은 야행성 동물로 머물렀다. 그 결과 시각이
퇴화
해 두 가지 옵신 유전자(SWS2와 RH2)가 기능을 잃었다. 공룡이 멸종한 뒤 포유류 세상이 됐지만, 대다수는 2색형 색각에 머물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심지어 박쥐나 라쿤 같은 몇몇 야행성 종이나 바다로 돌아간 ... ...
일차 섬모 손상된 생쥐 모델에서 심한 비만 나타나
연합뉴스
l
2020.10.22
전달하기 위한 수용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차 섬모는 운동성 섬모가
퇴화
하고 남은 흔적 기관으로 간주해 오랫동안 연구 대상에서 제외돼 왔으나, 최근 에너지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를 통해 뇌 시상하부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슬픈 질병 ‘퇴행성 뇌질환’ 극복을 위한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리뷰 논문은 세포 조직의 기본 메커니즘인 상전이가 신경
퇴화
와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를 논의한다. 리뷰 논문 저자에 따르면 상전이에 오류가 생기면 신경 퇴행성 증상을 유발하는 잘못 접힌 단백질이 쌓일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를 통해 속속 규명되고 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하고 덜 사용하기도 한다. 그 결과 많이 사용한 기관은 발달하고 사용하지 않는 기관은
퇴화
한다. 한 개체에서 일어난 이런 변이는 후대에 전해진다. 이를 용불용설이라고 한다. 기린의 목이 긴 이유를 용불용설은 아주 쉽게 설명한다. 즉, 고대의 사슴이 더 높은 가지의 나뭇잎을 먹기 위해 목을 늘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전담 기관인 눈이 생겨났고 눈 밖의 기관에 있는 빛수용체는 할 일이 없어져 점차
퇴화
했다. 그 결과 포유류와 조류에서는 완전히 기능을 상실했다고 생각했는데 2010년 조류의 뇌에서 빛수용체가 작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새의 두개골을 뚫고 들어가는 빛의 양이 미미할 것임을 생각하면 ... ...
지상 최대 공룡 '티나토사우르' 배아 2㎝ 두개골 복원
연합뉴스
l
2020.08.28
이런 구조는 알을 깨고 나오는데만 임시로 이용되고 부화 뒤 성체로 자라는 과정에서
퇴화
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알 화석은 약 25년 전 티타노사우르의 알 둥지가 무더기로 발견된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에서 나온 것으로 미국으로 몰래 반입됐다가 과학적 가치가 드러나면서 추가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UC샌디에이고) 공동연구팀은 태아의 소뇌증을 유발하는 지카바이러스로 뇌종양을
퇴화
시킨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의학 저널’에 발표했다. 또 2018년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제약회사인 존슨앤드존스과 머크는 각각 10억 달러(당시 약 1조1053억 원)와 3억9400만 달러(당시 약 4354억 원)를 들여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떨어져 나온 일부라고 하기에는 너무 크다. 거대 바이러스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는 세포
퇴화
설이 오히려 더 적합하다. 바이러스가 애초에 세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세포와 함께, 또는 세포보다 먼저 지구상에 출현했다는 가설도 있다. 바로 ‘독립기원설’이다. 현재 분류 체계상 생물은 크게 ... ...
열성 변이 가진 '베토벤 생쥐', 크리스퍼 가위로 교정 성공
연합뉴스
l
2020.06.05
TMC 1 유전자에 열성 변이가 생긴 생쥐는 생후 4주쯤 됐을 때 유모세포가 빠르게
퇴화
해 극심한 난청이 온다. 이번 연구에 저자로 참여한 하버드 의대의 제프리 홀트 이비인후과 교수는 유전자 요법을 사용해 생쥐의 TMC 1 관련 난청을 성공적으로 치료했다. 하지만 유전자 요법은 지속적인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