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개체"(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는 안 돼도 GEO는 된다?2021.10.14
- 분류돼 있지만 작물 개량 방법으로 쓸 수 있다. 아무튼 이렇게 얻은 돌연변이 4500여 개체를 하나하나 조사했지만 불운하게도 GAD3 유전자의 딱 맞는 위치에서 변이가 일어난 건 없었다. 표적을 지정해 건드리는 유전자편집 기술이 얼마나 효과적인 방법인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물론 작물 재배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10.09
- 통해 확보한 그 지역 식물플랑크톤, 중형저서생물,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변화 데이터가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나타난다. 더 복잡한 분석도 가능하다. 해양자료를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ODV(Ocean Data View)를 사용하면 JOISS의 자료를 수직 프로파일, 산포도, 수직단면도, ... ...
- [표지로 읽는 과학]바이러스는 야생에서 어떻게 살아남을까동아사이언스 l2021.10.03
- 밝혀내지 못했다. 안나 졸레스 오리건주립대 통합생물학과 교수는 “인간과 버팔로는 개체 규모나 서식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에게도 이와 똑같은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 예상하긴 어렵다”면서도 “지역간 격리돼 있는 버팔로보다 상호 간 접촉이 더 많은 인간은 병원체가 풍토병이 되기에 ... ...
- [표지로 읽는 과학] 더 강하고 가벼운 금속재료를 만드는 법동아사이언스 l2021.09.19
- 종류의 광물에서 2개의 결정이 특정한 결정면이나 결정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결합한 1개체의 결정체를 뜻한다. 나노 쌍정은 나노 크기 수준에서 이런 결정체가 형성됐다는 것으로 금속재료에서 이 구조를 만들어 내면 높은 강도와 연성을 유도한다는 게 입증돼 있다. 문제는 나노쌍정 구조의 구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명절에 만난 사랑하는 사람에게 삼가야할 오지랖 2021.09.18
- 하며 혼자서 생존하게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십여 년이다. 이렇게 하나의 제대로 된 개체를 만들어 내는 데 걸리는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인간은 이를 비교적 수월하게 해내기 위해 서로에게 독점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많은 투자를 부을 것을 전제로 한 ‘가족’이라는 특수 공동체를 만들게 ... ...
- 박쥐→사람 전파 매년 40만 건 이상 발생…다음' 신종 코로나' 발생 지역은?동아사이언스 l2021.09.16
- 대한 항체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지역에 사는 인구와 박쥐 종에 따른 개체군, 사람이 박쥐와 접족하는 빈도, 혈액에서 항체가 머무는 기간 등 데이터를 결합해 이 지역에서 사람이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일은 매년 평균 40만7422건 일어난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박쥐 ... ...
- 사람에게 코로나19 감염된 고릴라, 다시 사람 감염시킬까동아사이언스 l2021.09.14
- 있지만 현재 코로나19 상태로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며 "코로나19에 감염되는 동물의 개체수가 너무 적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미국에서는 사람 수백만명이 감염될 때마다 반려동물 감염 사례가 1건 꼴로 나왔다"면서 "코로나19에 걸리는 동물이 많지 않기 때문에 동물 안에서 변종이 생겨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2021.09.14
- 게 관찰됐고 그 가운데 불과 9개체만이 성공했다. 그나마 시도한 개체의 84%와 성공한 개체의 89%가 수컷이었다. 암컷은 불과 6마리가 시도했고 이 가운데 한 마리만이 성공했다. 최근 호주 시드니 일대의 큰유황앵무가 쓰레기통 뚜껑을 여는 법을 터득했고 이 행동이 주변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2021.08.24
- 이형접합성이 커서 이들을 교배해 얻은 씨앗을 뿌려 나온 잡종은 감자 크기나 수확량이 개체마다 제각각이다(segregating F1 hybrids). 균일함을 유지하려면 영양번식이 불가피한 이유다. 반면 재래종을 게놈 디자인으로 육종해 얻은 근교계 감자(아래 양쪽)는 재래종에 비해 부실하지만(근교약세) 이들 ... ...
- 코로나 비말 감염 '폐 손상', 접촉 감염보다 훨씬 심하다연합뉴스 l2021.08.18
- 특히 공기의 흐름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감염 개체(햄스터)로부터 비 감염 개체 쪽으로 향하던 공기 흐름을 반대쪽으로 돌리면 바이러스의 전염 효율성이 크게 떨어졌다. 이번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신종 코로나의 실내 공기 전염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 현행 코로나19(신종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