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스페셜
"
개체
"(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에게 코로나19 감염된 고릴라, 다시 사람 감염시킬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14
있지만 현재 코로나19 상태로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며 "코로나19에 감염되는 동물의
개체
수가 너무 적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미국에서는 사람 수백만명이 감염될 때마다 반려동물 감염 사례가 1건 꼴로 나왔다"면서 "코로나19에 걸리는 동물이 많지 않기 때문에 동물 안에서 변종이 생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
2021.09.14
게 관찰됐고 그 가운데 불과 9
개체
만이 성공했다. 그나마 시도한
개체
의 84%와 성공한
개체
의 89%가 수컷이었다. 암컷은 불과 6마리가 시도했고 이 가운데 한 마리만이 성공했다. 최근 호주 시드니 일대의 큰유황앵무가 쓰레기통 뚜껑을 여는 법을 터득했고 이 행동이 주변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이형접합성이 커서 이들을 교배해 얻은 씨앗을 뿌려 나온 잡종은 감자 크기나 수확량이
개체
마다 제각각이다(segregating F1 hybrids). 균일함을 유지하려면 영양번식이 불가피한 이유다. 반면 재래종을 게놈 디자인으로 육종해 얻은 근교계 감자(아래 양쪽)는 재래종에 비해 부실하지만(근교약세) 이들 ... ...
코로나 비말 감염 '폐 손상', 접촉 감염보다 훨씬 심하다
연합뉴스
l
2021.08.18
특히 공기의 흐름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감염
개체
(햄스터)로부터 비 감염
개체
쪽으로 향하던 공기 흐름을 반대쪽으로 돌리면 바이러스의 전염 효율성이 크게 떨어졌다. 이번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신종 코로나의 실내 공기 전염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 현행 코로나19(신종 ... ...
[표지로 읽는 과학] 빙하기 방랑자 털매머드의 생애 기록된 상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8.15
순간부터 죽을 때까지의 일기장이 상아에 기록돼 있다"며 "대자연은 일반적으로 한
개체
의 삶에 대해 그런 평생에 걸친 기록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매머드는 북극권에 가까운 알래스카 북부 구릉지대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다. 연구 저자들은 이 지역에서 상아 한 쌍을 포함한 매머드의 ... ...
남극 황제펭귄도 멸종위기종 지정…지구온난화로 2100년 서식지 98%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장보고과학기지 인근 황제펭귄 서식지인 케이프 워싱턴 등 두 곳에서 매년 황제펭귄
개체
수를 조사하고 있다. 이들 서식지에는 황제펭귄이 2만 쌍 이상 군집 생활을 하고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은 남극 내륙으로도 번지고 있다”며 “아델리펭귄, 턱끈펭귄, 젠투펭귄 등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생겨났다. 그 결과 부유물 섭식이 쉬워졌고 번식도 수월해진 것으로 보인다. 해면은 다른
개체
가 내보낸 정자가 바닷물에 떠다니다 위강으로 들어와 난자를 만나면서 수정이 일어난다. 비너스의 꽃바구니 안에는 물론 꽃이 들어있지 않다. 대신 종종 새우가 들어있다. 새우 유생이 골격 사이 ... ...
"성급한 방역 완화, 백신 내성 바이러스 변이 위험 키운다"
연합뉴스
l
2021.07.28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군비경쟁을 하는 셈이라며 방역 조치로 바이러스 확산을 막아
개체
수를 크게 줄일 수 없다면 이 경쟁에서 이길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백신 접종 프로그램만으로는 팬데믹을 끝낼 수 없고, 과학적 증거들은 '감염 재생산지수'가 1 미만일 때만 사회적 방역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매미가 드문 빈도로 갑자기 다량 출현하는 생활 방식은 실제로 포식압(잡아먹혀
개체
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줄인다”라고 설명했다. doi: 10.1890/10-1583.1 가장 유력한 가설은 요시무라 진 일본 시즈오카대 교수가 1997년에 발표한 수학적 설명이다. 요시무라 교수는 13, 17 등의 소수는 최소공배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대해 조심하고 있다. 처한 환경에 따라 특정 형질의 진화 속도가 다르고 같은 종이라도
개체
사이의 차이가 꽤 크기 때문이다. 화석을 손상시킬 수 없다는 이유로 게놈 분석을 시도조차 하지 않고 여러 고인류학자들이 인정하지 않는 형태 비교 기법으로 얻은 결과를 담은 논문이 ‘혁신’이라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