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스페셜
"
인식
"(으)로 총 1,2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당근의 작물화와 개량의 역사를 재구성한 논문이 실렸다. 아울러 오늘날 당근색이라고
인식
되는 진한 주황색이 나오게 된 주요 유전 변이의 실체도 밝혔다. 이 결과는 지난 2000년에 걸쳐 문헌이 당근에 대해 언급한 내용과 대체로 맞지만 세부 사항은 좀 다르다. 당근의 작물화와 개량 과정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정적 생각을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2023.10.14
생각을 하고 있다. 나는 지금 내 마음이 나에게 이렇게 살기 싫다고 이야기하고 있음을
인식
하고 있다.’ 하고 목소리를 내어 스스로에게 이야기해 보았다. 별 것 아닌 행동이지만 목소리를 내어 이야기해 보니 나를 계속해서 괴롭히던 것의 정체는 나의 생각임이 분명해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우리 신진 연구자들이 경쟁력을 갖추도록 해주는 것이 ‘국제협력’이라는 과기부의
인식
은 퇴행적이다. 물론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가 우물안의 개구리처럼 오로지 ‘우리 것’만 고집할 수는 없다. 전 세계의 모든 과학자와 열린 마음으로 경쟁하고, 협력하는 자세가 꼭 필요하다. 그렇다고 해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위기의 심각성 또한 팬데믹과 비슷한 수준으로 심각하다고
인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가 점점 피부로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다른 큰 문제의 등장에도 기후 위기로부터 눈을 돌리지 못하게 된 것일까. '단순 노출 효과(mere exposure effect)'라는 것이 있다. 어떤 자극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그런 지적은 오래전에 수명이 끝나버린 패스트 팔로어 시대에나 어울렸던 낡고 퇴행적인
인식
이다. 선진국의 최고 연구기관이 돈 보따리만 들고 가면 누구에게나 연구개발 현장을 체화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는 기대는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연구개발의 현장을 무시한 억지일 뿐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둘러보면 '소중한 존재'가 있다
2023.09.09
버지니아대의 심리학자 제나 윌슨(Jenna Wilson) 등의 연구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를 잘
인식
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지금 이 순간에 머무는 ‘마음 챙김’과 작은 행복도 길게 곱씹어보는 ‘음미하기’ 또한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쩌면 주어진 사랑과 관심을 잘 캐치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
2023.09.06
내 얼굴과 타인이 보는 내 얼굴의 인상은 십중팔구 다르다. 우리는 얼굴의 비대칭을 잘
인식
하지 못하지만 정면 얼굴 반을 지우고 나머지의 좌우를 바꿔 붙인 좌우대칭 얼굴은 꽤 낯설다. 연예인들은 얼굴 비대칭을 잘 알고 있어서 예능에 나가면 예쁜 쪽 얼굴이 나오게 자리 배치를 요구하기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매매 합법화하면 성폭력 줄어들까
2023.09.02
체험을 시켜주는 것은 올바른 대처법이 아님을 강조한다. 여성과 성에 대해 잔뜩 왜곡된
인식
을 가지고 있는 것이 문제이기에 이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성범죄는 근절되지 않을 것이다. ※참고자료 - Ward, T., Gannon, T. A., & Keown, K. (2006). Beliefs, values, and action: The judgment model of cognitive distortions in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공학자의 황당한 주장도 있었다. 오히려 자신들이 국민 불안을 부추기고 있다는
인식
은 찾아볼 수 없는 억지이고 궤변이다. '꿈의 물질'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한국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둘러싸고 해외 과학계에도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세계 최초에 대한 애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인공 화합물이 옛날 같으면 면역계가 그냥 넘어갔을 음식물의 단백질을 알레르겐으로
인식
할 수 있게 자극하는 독소 역할을 하는 건 아닐까. 무더위가 물러서면 사찰을 찾아 며칠 머물며 천연 식재료로 만든 음식을 먹으며 심신을 디톡스해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