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스페셜
"
해부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전염병과 의사의 끝나지 않는 전쟁
2020.02.15
내용이 많았다. 사실 중세 의사는 신체 장기의 위치도 제대로 알지 못했다. 평생 한 번도
해부
를 해보지 못한 의사가 넘쳐났다. 사체액설은 가장 중요한 의학적 교리였고, 이를 의심하는 의사에게는 큰 수모가 기다리고 있었다. 동양도 마찬가지였다. 존재하지 않는 장기인 삼초는 수천 년 동안 ... ...
[인류와 질병]점점 북적이는 치과의 비밀 '치아의 진화'
2020.01.25
가면서 두 번째 소구치가 사라졌다. 소구치를 흔히 번호를 붙여 P3, P4라고 하는데, 처음
해부
학을 공부하는 의대생은 ‘도대체 P1, P2는 어디 있느냐’고 궁금해하기도 한다. 수천만 년 전에 사라졌다. 그래서 인간의 치아는 총 32개다. 침팬지나 고릴라, 오랑우탄도 모두 32개다. 잘 알겠지만, 치아는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자면서 이 질환이 생겼을 것으로 추정했다. 파올라 빌라 연구원은 “네안데르탈인의
해부
학적 증거 외에도 모스세리니 동굴에서 확인한 고고학적 증거는 네안데르탈인이 수생 자원을 이용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
2019.12.14
생기는 이유다. 약 70여년 전 미국 예일대 의대
해부
학 교실의 제임스 해밀턴은 미국
해부
학회지에 남성 호르몬 자극이 통상적인 대머리의 선행 요인이라는 연구를 발표했다. 사춘기 이전에 거세당한 남자 아이는 남성형 탈모가 드물다는 것이다. 하지만 탈모가 있다고 남성성이 더 강한 것은 ... ...
[주말 고고학산책] 2000년전 뼈로 삼국시대 얼굴 되살린다
2019.11.16
먼저 복원하기로 하고, 연구실로 머리뼈를 보냈습니다.” -김이석(가톨릭대 의대
해부
학교실 부교수) “받은 머리뼈를 여러 번 컴퓨터단층촬영(CT)하고 얻은 2차원 촬영 영상을 쌓아 3차원 머리뼈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머리뼈 모델에 피부 두께를 나타내는 막대인 ‘페그’를 설치했습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철학 없는 기초과학의 몰락
2019.10.11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https://www.ytn.co.kr/_ln/0105_201908130025018052 -김근배. 과학기술입국의
해부
도. 역사비평. 2008;85. -http://scienceon.hani.co.kr/30757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06760.html -IBS는 은하도시-과학비즈니스벨트 등 각종 정치적 이권이 걸린 사업이 혼재되어 급조된 엉뚱한 작품이었다. http://www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의대교수였던 베살리우스가 《인체
해부
에 대하여》를 출판했다. 이 책은 최초의 인체
해부
학 서적으로 평가받을 만큼 중요한 서적이다. 봄이 오면 어느 순간 곳곳에서 온갖 꽃들이 피기 시작한다는 말이 여기에도 적용되는 모양이다. 《천구회전에 관하여》의 ‘회전’에 해당하는 영어단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종양은 뇌 속에 뿌리 내려 성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8
프랭크 윙클러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신경종양학부 교수와 토마스 쿠너 기능신경
해부
학부 교수 연구팀은 신경교종 세포를 실험실에서 키웠을 때와 쥐에게 이식했을 때, 성인 인간에게서 직접 채취했을 때 모두에서 시냅스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미셸 몬제 미국 스탠퍼드대 신경학부 교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통과한다고 했으나 이븐 알 나피스는 격벽에 구멍이 없고 단단하다고 기술했다. 이는
해부
학적으로 정확한 내용이다. 폐순환을 다시 언급한 사람은 250여 년 뒤인 16세기 유럽의 세르베투스였다. 온전한 혈액순환론이 나오려면 17세기 영국의 하비까지 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억할만한 이슬람의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발생하는 질환이다. 조씨 외에도 단국대 의대 연구소 박사후연구원과 단국대 의대
해부
학과 교수, 병리학과 교수 등이 연구에 참여한 것으로 돼 있다. 연구팀은 이 논문을 통해 산화질소 합성효소 유전자의 다형성이 신생아의 허혈성 뇌산소뇌병증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혈관 내벽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