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혜
슬기
재치
예지
분별력
영리
약삭빠름
스페셜
"
현명
"(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태도는 정말 비과학적이다. 자연은 그 자체로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다. 이를
현명
하게 구분하여 이용하려면 항상 신중한 태도로 진화의학 연구의 결과를 지켜보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편 미리 보기 픽사베이 제공 치의학은 왜 의학과 따로 구분되어 있을까? 사실 과거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올가을 태풍 한반도 미래 기후 맛보기
2019.10.15
게 현실임을 받아들인다면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현명
한 대응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래는 IPCC의 특별 보고서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산업혁명 이전 시대 500년에 한 번꼴로(0.2% 확률) 발생한 (열대성저기압으로 인한) 대홍수가 지금은 25년 만에(4% 확률) ... ...
뇌전증 환자 36만명인데, 수술받으러 일본행 비행기표 사는 환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아직 절반 정도만 승인 받았다"며 "11월 쯤 최종 결정이 나는데 부디 심사숙고와
현명
한 판단으로 전 연령대에서 수만~수십만 명이 고통받고 있는 이 병을 해결할 수 있는 날이 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건강한 사람의 뇌파와 뇌전증 환자가 부분발작, 또는 전신발작을 일으켰을 때 뇌파가 서로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죽을 가능성도 높았을 것이다. O형 혈액을 가진 사람은 가급적 칼싸움을 피하는 것이
현명
했을 것이다. 물론 원시인이 자신의 혈액형을 알 수는 없었을 테지만 말이다. 도대체 인구 집단에서 O형이 높은 빈도로 유지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스크인의 선택 온라인상에서 떠도는 혈액형별 ... ...
[이정아의 미래병원] '게임병'을 다스리는 세 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여럿 나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게임을 즐기면서도 게임중독에 빠지지 않게 하는
현명
한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게임중독이 질병으로 공식화된 만큼 병원의 역할도 중요하다. ① 게임중독을 진단하는 표준화된 기준을 정한다 가장 큰 논란은 ‘게임중독을 어떻게 측정해 병으로 진단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포기할 줄 아는 용기
2019.05.18
쓰게 된다는 것이다. 그럴 시간에 내가 잘 할 수 있는 새로운 무언가를 발굴하는 것이 더
현명
할 수 있는데 말이다. 많은 것들을 그럭저럭 해내지만 딱히 잘 하는 건 없는 상태 또한 일면 뭐 하나라도 못 하는 게 있어선 안된다는 두려움이나 강박의 결과물일까? 뭐든지 열심히 하는 사람이 되라고들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0) 기계에게 판단하는 법 가르치기
2019.05.07
기능의 제공 여부이기 때문이다. 여기까지는 참 간단하다. 그렇다고 컴퓨터에게
현명
하게 판단하는 능력까지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단순히 판단의 기능만 가지고 있을 뿐이다. 단적으로 컴퓨터의 가장 낮은 수준에서 조건 분기는 바로 직전의 계산 결과만 참고한다. 그마저도 결과가 0인지 아닌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소확행'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2019.03.09
선택이 눈 앞의 확실한 보상에 집중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척박한 환경에서는
현명
한 삶을 사는 공식 자체가 다르며 어쩌면 눈 앞의 확실한 보상에 집중하는 것이 장기적인 생존에 유리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소확행’이라고 작지만 확실한 행복에 점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현상 또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교수는 책에서 이런 개입이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그는 “편안하고자 하는 본능이 더
현명
한 판단을 이기는 것이 인간 본성”이라며 “오늘날의 풍요로운 환경에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택하게끔 인도하는 몸의 지혜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어린이가 유해한 음식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쓰면 수면장애로 고생한다. 슐츠 회장의 퇴임을 계기로 위의 두 자료를 바탕으로 커피를
현명
하게 마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잠의 생리학에 대해 잠깐 살펴보자. 수면욕구 = 수면압력 - 생체시계 각성도 잠이 들고 깨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게 본질적으로 심리(의지)의 문제가 ... ...
이전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