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cell"(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 코로나19 리포트]바이러스로 코로나바이러스를 잡는다2020.03.23
- VSV) 등 3개의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고 이를 실험으로 증명하였다(Molecular Cell, 2019 76:826-837).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은 최근 이 아이디어에 착안해 크리스퍼-카스13으로 코로나바이러스-19의 증식을 차단할 수 있는 연구를 유니스트 교수진과 함께 진행하고 있다.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expressing double-positive thymocyte)로 분화한다. 그리고 피질 흉선 표피세포(cortical thymic epithelial cells, cTECs)로 알려진 세포 집단에 의해서 DP 흉세포에 제 I형 및 제 II형 주요조직적합성 분자(major histocompatibility molecules)가 제시된다. 이 cTEC는 흔하지 않은 종류의 리소좀 프로테아제를 만들어서 자기 단백질의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2020.01.03
- big should they be?. PeerJ, 3, e989. -Alberts BM (1985) Limits to growth: In biology, small science is good science. Cell 41: 337–338 -Lane, J. (2010). Let's make science metrics more scientific. Nature, 464(7288), 488.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2019.12.10
- 규명한 것이다. 세포사멸 하면 아폽토시스(apoptosis)라고 불리는 세포예정사(programmed cell death)나 동상이나 독성화학물질 등 외부손상, 감염에 따른 세포괴사(necrosis) 두 가지만 알고 있던 필자는 처음 보는 용어에 좀 당황했다. 게다가 2012년 학술지 ‘셀’에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쓰인 용어라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2019.11.12
- 나타나기 시작했다. 짠 먹이를 먹은 생쥐의 소장을 조사해보자 조력T림프구(TH17 cell)라는 면역세포가 많아졌고 그 결과 이 세포가 만드는 신호물질인 인터류킨-17(IL-17)의 혈중 농도가 높았다. IL-17은 혈관을 타고 뇌에 들어가 혈관 벽을 이루는 내피세포가 일산화질소(NO)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2019.10.01
- 폐포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가 정상적인 면역반응을 하고 2형 폐포세포(alveolar type Ⅱ cell) 내부의 층판소체(lamellar body)도 균일하다. 오른쪽은 전자담배에 노출된 폐로 폐포대식세포 안에 지질 덩어리가 축적돼 있고 바이러스 침투 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 2형 폐포세포의 층판소체도 형태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2019.08.13
- 수용체가 항원을 인식했을 때 그 신호가 따로 전달된다. 연구자들은 듀오카트세포(duoCAR-T cell)로 불리는 이 세포를 HIV에 감염된 면역세포와 함께 생쥐의 비장에 넣어줬다. 비장은 HIV가 증식할 때 선호하는 장기다. 1주일 뒤 조사한 결과 HIV에 감염돼 세포 표면에 gp120 단백질이 있는 면역세포의 수가 97 ... ...
-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동아사이언스 l2019.07.28
- 의대 생물학자인 모하메드 알쿠래시 박사다. 올해 4월 국제학술지 ‘셀 시스템즈(Cell Systems)’에 논문으로 발표한 알쿠래시 박사의 AI 알고리즘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보다 100만배 가량 빠른 속도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CASP에서 압도적으로 두각을 드러낸 알파폴드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2019.02.06
- 더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 세포핵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근육에는 위성세포(satellite cell)라고 불리는 줄기세포가 있어서 신호가 오면 세포분열을 하고 인근 근육세포에 흡수되면서 세포핵이 더해진다. 성장기에는 별다른 운동을 하지 않아도 위성세포가 왕성하게 분열해 근육량이 늘어난다. 그러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2019.01.29
- 발견했다. 이런 경향은 증상이 심각했던 그룹에서 더 두드러졌다. 기억B세포(memory B cell)는 병원체(항원)에 최초로 노출됐을 때 형성돼 혈액이나 림프액에 존재하는 세포다. 처음 감염돼 병을 일으킨 병원체가 그다음에는 힘을 쓰지 못하는 건 기억B세포가 즉각 대응해 항체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