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cell"(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분해해 특유의 냄새가 나는 분자를 만들어낸다. 낫토균의 전자현미경 사진. - Microbial Cell Factories 제공 ● 1906년 냄새 원인 박테리아 규명 그런데 낫토나 청국장에서는 왜 발 냄새가 날까(적어도 음식의 실체를 모른 채 냄새를 맡았을 경우). 답은 간단하다. 발가락에 살며 발 냄새를 만들어내는 ...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2016.11.23
- 그런 경향이 남아 있다), 실제 숫자로 보면 뉴런은 10%밖에 안 되고 나머지는 교세포(glia cell)다. 그럼에도 교세포는 뉴런에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흡수하는 보조자로 여겨져 주목받지 못했다. 그런데 교세포가 이런 역할뿐 아니라 뉴런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신호전달 속도와 안정성에도 ...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동아사이언스 l2016.08.01
- 표지그림 이외에 다양한 변수가 작용하기도 한다. 조지프 카푸토 과학저널 ‘셀(Cell)’ 편집자는 “그림의 미적 아름다움, 창의성, 전문성을 판단해 투표로 표지를 선정하고 있다”며 “다만 경쟁 학술지에 비슷한 그림이 실렸다면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IBS l2016.03.31
- 화석연료를 대체할 대안 중 하나로 수소연료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현대차의 투싼ix Fuel Cell, 도요타의 미라이처럼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한 상용 차량도 출시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에서도 촉매의 역할은 중요한데, 그 발전효율을 좌우하는 핵심소재가 바로 백금 촉매다.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한 ... ...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동아사이언스 l2016.03.04
- - NMRI 제공 이 시험장치의 연료전지 스택(단위전지를 직렬로 적층한 것)은 퓨얼셀파워(Fuel Cell Power)사의 제품이다. 출력 1kW 단위전지 24개가 적층돼 있는데, 전극 면적이 133cm2이며 대략 폭 14cm, 높이 22cm, 길이 22cm의 크기다. 연구그룹은 개질 가스 중에 포함되는 CO가 전극의 백금 촉매에 악영향을 줄 수 ...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비밀에 다가선 것이다. 이 연구는 지난 1월 1일 생명과학분야 세계 유명 학술지인 에 실려 새해 벽두부터 국내외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김빛내리 단장과 우재성 IBS 연구위원(서울대 연구교수)는 ‘드로셔-DGCR8’ 단백질 복합체가 1개의 드로셔와 2개의 DGCR8 분자로 구성돼 있음을 처음으로 ...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IBS l2015.12.29
- 교과서적 업적을 처음 밝힌 만큼 선구적인 연구라고 생각합니다." PCNA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단백질 3차 구조 (source: Protein Data Bank).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과거 사람들은 DNA가 안정적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DNA 분자는 굉장히 불안정하고 역동적이다. 내부 요인이나 외부 요인에 의해 ...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IBS l2015.02.26
- 본다”고 밝혔다. 또 명 단장은 DNA 복제를 도와주는 증식세포핵항원(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을 DNA로부터 떨어뜨리게 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한 유전자 ATAD5를 포유동물에서 찾아냈다. PCNA는 DNA 복제 시 중합효소(polymerase)를 비롯한 여러 효소를 데려와 복제를 돕는데, DNA 복제가 끝나면 DNA에서 ...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2015.01.19
- 12월, 분자생물학 분야 최고의 학술지인 셀(Cell)에 IBS RNA연구단(단장 김빛내리)의 논문이 실렸다. 세포 안에 있는 전령RNA의 분해과정에 숨겨져 있던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다는 내용이었다. 이 연구는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지난해 3월 발표했던 '꼬리서열분석법(TAIL-seq)'을 이용해 얻은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2014.12.22
- 연구의 지평을 넓혀 다세포생물에서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세포유착분자(cell adhesion molecule, CAM)’를 발견했다. 그 뒤 뇌과학 분야로 진출한 에델만은 신경계가 면역계와 비슷하게 작동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1977년 ‘신경다윈주의(Neural Darwinism)’를 제창한다. 즉 에델만이 항체의 ... ...
이전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