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론적 근거를 밝히는 학문 체계적인 동물 분류는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에서
시작
되었다 X와 Y가 확률변수일 때, 확률변수의 쌍 (X, Y)를 2차원적 확률변수로 볼 때의 확률분포 하나의 형질발현에 관계되는 2쌍 이상의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사장은 KAIST의 고위인사를 찾아가 두 논문이 조작됐다고 제보했다. 다음날 KAIST는 조사를
시작
했고 한 달여만에 중간발표를 통해 논문조작의 윤곽을 밝혔다. 그런데 CGK과 KAIST는 현재 서로 불편한 상태다. 김 교수가 MAGIC 기술 특허를 CGK로 빼돌린 사실을 뒤늦게 안 KAIST가 지난해 초 CGK에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일본의 ‘미베몰 색소폰 앙상블’과 합동 공연을 갖게 된 것이다.드디어 공연이
시작
됐다. 일본 색소폰 앙상블은 소리가 아름답고 깨끗할 뿐 아니라 베이스 색소폰까지 가세해 저음부를 탄탄하게 받혀주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들의 소리에 비하면 우리 단원들의 소리는 너무나 거칠다는 사실을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마음이다.미국 유학시절 단백질의 ‘휘황찬란한’ 분자구조에 반해 구조생물학을
시작
했다는 조 단장은 그때 품었던 초심(初心)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단백질의 구조부터 차근차근 연구하다보면 언젠가는 비정상적으로 성장해 암으로 돌변하는 ‘세포의 반란’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 ...
“내 안에 우주 있다” 남극에서 운석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발견했어요. 2007년 12월 24일 서남극 티엘 산맥 근처에서 3㎏짜리 대형 운석을 발견한 것을
시작
으로, 29일에 9개, 30일에는 3개를 더 발견했답니다.운석은 우주 공간의 암석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지구 표면으로 떨어진 것으로,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어요. 지금까지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장면으로 눈을 돌려 보자. 제리의 꾀에 넘어가 화가 머리끝까지 난 톰은 제리를 쫓아가기
시작
한다. 하지만 영리한 제리는 톰의 꼬리에 매달리고 톰은 자신의 꼬리에 제리가 있는지도 모르고 계속 제리를 찾는다. 결국 톰은 제리를 찾지 못하고 그렇게 또 제리에게 속은 채 하루를 보낸다. 여기서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나서 정말 아름답고 소중한 생물들이 많이 살고 있는 곳이라는 걸 알았어. 해양생태계가
시작
되는 갯벌, 국내 최대의 철새 도래지인 천수만, 특이한 생물이 많이 사는 신두리해안사구 등….이런 곳에 끔찍한 기름 유출 사고가 있었다는 사실이 정말 안타까워. 곧 봄이 되면 태안을 들를 나그네새인 ... ...
핑그르~! 빈혈이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닫자고 칭얼댔다. 그러자 닥터고글이 갑자기 진지한 얼굴로 발그레 양을 나무라기
시작
했다.“신선한 산소를 더 많이 쐬어야 해. 이 정도이기 망정이지 일산화탄소가 얼마나 무서운 줄 알아?”“일산화탄소가 도대체 뭐가 무섭다고 그래? 무섭게 생긴 거야?”“일산화탄소는 자동차 배기가스나 담배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나누기
시작
하면 숲 속을 떠돌던 구혼의 메시지와 경쟁자는 사라진다. 일단 짝짓기를
시작
하면 수컷은 암컷이 페로몬을 더 이상 방출하지 못하도록 막기 때문이다.나방은 밤을 좋아한다. 겨울자나방도 야행성이다. 그런데 3월의 밤은 뼈 속까지 시리도록 춥지 않은가. 살을 에는 추위를 곤충들이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됐으며 그들의 아들, 즉 마리 퀴리의 외증손자도 천문학자의 길에 들어섰다. 마리 퀴리가
시작
해 대를 이어 내려온 멘토링 덕분에 퀴리 가문은 과학의 명가(名家)를 이룬 셈이다. “나는 (비틀린) 손으로 과학을 한다”멘토링의 중요성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또 다른 사례를 같은 시대에 같은 ... ...
이전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