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4. 여성 파워엘리트 인큐베이터 wise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중고등학생, 특히 여학생을 이공계로 이끌 프로그램이 필요했는데, 이런 목적으로 2001년
시작
된 사업이 바로 WISE다. 이 소장은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여교수가 여학생을 돕는 프로그램을 이 대학의 여성 학장한테 소개받고 WISE를 기획했다”고 말했다. 사실 WISE의 핵심은 여대생뿐 아니라 ... ...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페트병으로 다시 페트병을 만드는 ‘병에서 병으로’(bottle to bottle) 정책을 오래 전부터
시작
했고, 일본은 기업 주도로 슈퍼마켓마다 플라스틱 수거함을 설치해 재활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지난해 HP는 헌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2억 개가 넘는 정품 잉크젯 카트리지를 생산했다. 지난 1월 말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의 전자명함이 내 PDA로 전송됐다. 맛있게 점심식사를 한 뒤 본격적으로 사업 얘기를
시작
했다. 프린터에 손을 대자 PDA에 담아온 우리 회사 제품의 홍보자료가 전송돼 바로 출력됐다. PDA에 계약서를 띄우고 서명모드로 바꾼 뒤 서로의 PDA에 손을 대는 것으로 서명을 대신했다. 마지막으로 악수를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손예진 분)가 한국에서 소매치기 활동을 재개하면서 무방비 도시 서울은 술렁이기
시작
한다. 한국 경찰은 이들 일당을 소탕하기 위해 광역수사대를 편성하고 조대영을 소집한다. 때마침 그의 모친 강만옥도 형기를 마치고 출소하는데….▒ 영화 ‘무방비 도시’는 타락한 도시를 배경으로 활동하는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조직이 뭉쳐지면 더 쫄깃쫄깃해진답니다.셋, 설날에는 왜 가래떡을 먹나요?한 해를
시작
하는 명절인 설날에는 가래떡처럼 길게 오래 살라는 의미로 가래떡을 먹어요. 추석에는 한해 동안 열심히 농사를 지어 거둬들인 햅쌀과 햇곡식을 이용해 송편을 빚어 먹는답니다.넷, 설탕이 없던 옛날엔 어떻게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했던가. 세잔 풍의 정물을 그리던 잔은 모딜리아니의 영향을 받은 초상을 그리기
시작
했다. 언뜻 봐서는 누구의 그림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작품도 있다. 동일한 모델을 대상으로 작업한 이들 부부의 그림을 비교해보면 비로소 차이점이 드러난다. 모딜리아니가 그린 초상이 인물 자체에 초점을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적극적으로 찾는 사람에게 와요” “고3 초에
시작
했던 교수님과의 멘토링은 제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건 중 하나랍니다. 모니터 앞에 앉아 망설이며 키보드를 두드리던 일이 이렇게 큰 경험을 가져올 줄은 몰랐어요.” 지금은 미국 코넬대 3학년생인 정수연 양은 WISE 웹사이트에서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반음양증을 앓던 한 살짜리 ‘중성’ 아기가 성전환수술을 받은 뒤 남성으로서 삶을
시작
했다.하지만 정상 염색체를 가진 사람이 성전환수술을 원할 때는 수술보다는 일차적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는 편이 좋다. 사회적, 윤리적, 종교적 문제도 있거니와 한 번의 수술이 환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완벽한 것으로 여겨졌던 린네의 ‘2계 분류 체계’는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금이 가기
시작
했다. 여태껏 존재 자체를 몰랐던 미생물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미생물을 식물계의 하나로 취급했지만 점차 부적절한 분류라는 지적이 커졌다.이런 상황에서 세포의 형태, 즉 세포핵이 있느냐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5년간 박사후 과정을 한 뒤 2000년 미국으로 건너가 밴더빌트대에서 박사후 과정을
시작
했다. 미국생활은 한국에서 생각했던 것과 많이 달랐다.“많은 실험실이 학생과 연구원 다수가 아시아계이고 우리가 전형적인 미국인이라고 생각하는 백인은 한두 명 뿐이었습니다. 게다가 미국 실험실이라고 다 ... ...
이전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