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질환별 표준 뇌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하기 위해서 두피에 전극을 붙여야 하는데,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인 피부와 두개골
안
의 수액이 뇌에서 나오는 전기신호(전류)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두개골이 신호를 약하게 만든다.과학자들은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돌아가는 길’을 택했다. 이 박사는 “뇌 ... ...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에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만나기로 돼있다. 독수리자리 알타이르가 은하수 가장자리 부근에 있기는 하지만 은하수
안
쪽에 있다. 이 때문에 동양에서는 이 별을 하고(河鼓), 즉 ‘은하수의 물소리’라고 이름 붙였던 것이다. 만일 이 별이 견우성이라면 견우는 은하수에 빠져서 허우적대고 있는 형국인 셈이다. 견우가 ... ...
남이섬 환경학교 '기후캠프'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직접 취재하기 위해
안
여은 기자가 나섰다.2. 지구를 살리는 7가지 방법- 최인영(경기
안
화초 6년)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서는 생활 속 작은 습관을 바꾸는 일부터! 최 양은 한 달 전 시작한 지구를 살리는 7가지 생활 습관을 실천하고 있다. 최 양은이습관을‘아름다운 불편’이라고 부른다. 이를 ... ...
두뇌계발게임 한자리에! “모여라! 과학퍼즐의 지존”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통과하라! '3D 미로큐브'1974년 헝가리의 건축가 에르노 루빅이 고
안
한‘루빅큐브’를
안
해본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3D 미로큐브’는 여기서 더 진화해 모양도 정육면체가 아닌 구형이다.큐브의 꼭대기 구멍에구슬을 넣고 가로 세로로 돌려 구슬을 다음 방으로 이동시킨다. 마치 영화‘큐브’를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연결하고, B는 펌프 및 수은압력계에 연결한다 결정형을 나타내기 위해 나우만이 고
안
한 기호 홍적세에 중국 일본 등 매머드 분포 범위의 남쪽에 접하는 온대 북부지역에 서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거상(化石巨象)1927~ 미국의 생화학자 플로리다 대학, 미시간 대학 졸업 후 1957년 미국립보건연구원 ... ...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인체에 무해하고 값싼 연료전지를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미토콘드리아는 인체
안
에서 나노로봇이나 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의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다. 미국 MIT의 존 산티니 박사팀은 2003년 혈관을 돌아다니며 소량의 약물을 신체 곳곳에 전달할 수 있는 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을 ... ...
'캐리비
안
의 해적' 건강보고서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선장, 사방이 잭 스패로우로 가득하다. 그는 수많은 자신의 분신에게 명령을 내리고 맘에
안
드는 ‘놈’은 단칼에 죽여 버린다.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정신과 윤대현 교수는 “사람들과 동떨어져 아무 자극 없는 환경에서 지내다보면 일시적으로 환상을 보거나 환청에 시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윤 ... ...
컴퓨터로 공기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모델을 완성했다.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기후모델이 채택한 격자의 크기가 300km인 점을 감
안
하면 초고해상도 기후모델인 셈이다. 강 교수는 “이 모델을 사용하면 태풍 같은 기상 현상을 훨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며 ‘메이드 인 코리아’ 기후모델을 자랑했다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지만 작은 공간에 다량의 수소를 잡아 놓기 위한 유력한 방
안
인 것은 분명합니다.”새로운 과학기술의 세계를 여는 유 교수. 그는 “사회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는 연구는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오늘 밤에도 그의 연구실에 불이 꺼지지 않는 이유다. 비닐하우스에서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장난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귀신 착시가 그저 그릇된 오류인 것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귀신 얼굴을 보는 것은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 상대의 얼굴을 재빨리 인식하기 위한 진화의 부산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귀신은 실제로 있든 없든 상당한 공포를 주는 자극임에는 틀림없다. 그런 공포 ... ...
이전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