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곰의 위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난 여름 미국 지질조사소의 과학자들이 북극곰의 서식지인 해빙을 조사한 결과 그 면적이 지속적으로 줄었다. 이대로라면 현재 1만 6000~2만 마리
정도
인 북극곰 수가 2050년에는 3분의 2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
최초의 박쥐는 레이더 없이 날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쏴 물체를 ‘본다’. 사람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높은 주파수의 음파를 발사해 반사되는
정도
에 따라 물체의 크기와 거리를 파악한다. 박쥐가 초음파를 내는 능력을 먼저 가졌는지, 하늘을 나는 능력을 먼저 가졌는지는 학계의 오랜 논란거리였다. 초음파를 내던 동물이 곤충을 잡으려다가 ... ...
동계훈련 가는 선수는 장 속 박테리아 챙겨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복용한 그룹은 감기 증상을 보인 기간이 평균 72일이었지만, 생균제를 복용한 그룹은 30일
정도
에 그쳤다.혈액검사를 한 결과 생균제를 복용한 그룹에서 일반영양제를 복용한 그룹보다 면역 강화 물질인 인터페론 감마(γ)의 양이 2배 더 검출됐다.연구팀은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대회 같이 큰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부스럭 소리도 내서는 안된다. 다리에 쥐가 나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주저앉아버릴
정도
의 고통을 견뎌낸 자만이 곤충의 세레나데를 만끽할 수 있다. 날개 잃은 암컷의 ‘숨은 무기’국내에 서식하는 자나방은 600여 종이다. 자나방의 애벌레는 독특하게 몸의 6번째와 10번째 마디에 배다리가 있다.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고물 휴대전화는 1억 대가 넘고, 이를 재활용하면 1년간 19만 4000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정도
의 에너지가 절약된다.컴퓨터는 구입한지 1년만 지나도 구식이 되고 휴대전화는 번호이동성제도를 미끼로 뜨거운 유혹을 던진다. 오는 2013년 지상파방송이 디지털방송으로 전환되면서 수많은 구형 TV들이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2004년까지 한해 1건에서 2005년에는 9건, 2006년에는 25건, 그리고 2007년에는 30건이 넘었을
정도
로 해마다 가파르게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일 만큼이나 인체통신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를 찾는 일도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2015년.우리 몸에 더욱 가까워진 통신 ... ...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들어갈 수 없는 곳이었다. 현재는 약 45일 전에 출입신청을 하면 내부 관람을 할 수 있을
정도
로 개방됐지만 아직 출입제한 구역도 많다.가장 먼저 둘러본 곳은 깊이 12m, 지름 23m인 원형 풀 안에 국제우주정거장의 즈베즈다 러시아 모듈 실물이 잠겨 있는 ‘하이드로랩’이었다. 이곳에서 우주인들은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것이며 후자는 비교적 작은 입자로 공업용 다이아몬드(보츠)를 하나의 비트에 100~200개
정도
박아 만든 것이다 다이아몬드 비트(bit)를 사용하여 굴착하는 작업 일반 광산에서 흔히 사용하는 회전식 시추로서, 탐광을 목적으로 하는 시추 외에도 갱내에 수갱(竪坑) · 통기공 · 배수공 등을 설치하거나 ... ...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조각을 띄워 분리하는 습식선별법이 있다. 최근 독일의 TLT재활용회사는 비중 차이가 0.2
정도
밖에 나지 않는 PP와 PE를 분리할 수 있는 용액을 제조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1. 서로 다른 플라스틱 A와 B를 마찰시키면 일함수가 큰 A쪽으로 전자가 이동하며 음전하를 띤다.2. 하전된 플라스틱 조각을 3만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kingdom)에서 생물을 식물계와 동물계 둘로 나눴다. 오늘날 초등학생도 쉽게 배울 수 있을
정도
로 명확한 출발점으로 보인다. 완벽한 것으로 여겨졌던 린네의 ‘2계 분류 체계’는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금이 가기 시작했다. 여태껏 존재 자체를 몰랐던 미생물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미생물을 ... ...
이전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