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바이오인식의 열쇠로 사용되고 있거든. 정말 이런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
라니까. 어떤 방법들인지 함께 알아볼까?서명부모님이 마트에서 물건을 사고 카드로 계산을 한 다음 서명을 하는 모습을 본 적 있지? 사람마다 서명을 할 때 글자 모양이 다른 것은 물론 서명을 하는 동작 사이의 ... ...
정전기가 자동차를 태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씨는 단골을 잡았다는 생각에 더욱 더 힘을 내 차를 닦기 시작했다. 차체가 흔들릴
정도
로 차를 맹렬히 닦는 오일뱅 씨를 본 차모라 양은 자신의 차가 얼마나 반짝거리는지 보고 싶은 마음에 계속 차에서 나왔다 들어가기를 반복하고 있었다. 그런 차모라 양을 본 오일뱅 씨는 신이 나서 주유가 다 ... ...
블루 다이아몬드, 붉은빛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대부분의 블루 다이아몬드는 500nm의 빛이 더 강해 청록계열 인광을 띠지만 붉은빛이 섞인
정도
가 달라 인광의 색조가 미묘하게 다르다. 포스트 박사는 “인광을 분석하면 개별 블루 다이아몬드를 구별할 수 있다”며 “인공적으로 만든 블루 다이아몬드는 이런 현상이 없기 때문에 모조품을 쉽게 ... ...
지혜 담긴 집 한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한옥에서 오르내림과 꺾임은 관절을 많이 쓰게 만든다. 그러나 절대 연골에 무리가 갈
정도
로 과하지 않다. 댓돌을 올라 대청으로 옮겨가고 툇마루에 걸터앉았다 문지방을 넘어 방을 드나들고, 작은 문과 큰 문을 넘나들다 보면 저절로 머리부터 어깨, 무릎, 팔, 다리까지 적절히 굽혔다 펴게 된다.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살아남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결과다. 현재 이 행성은 원래 위치에서 70%
정도
밖으로 밀려난 상태로 알려졌다.연구팀에 참여한 미국아이오와주립대 스티브 카왈러 교수는 “이는 먼 미래에 지구의 생존에 대한 좋은 조짐이지만, 이 행성은 목성보다 더 커 살아남은 것”이라며 “지구처럼 ... ...
세계 IT 트렌드의 현장, 소비자가전 전시회(CES) 2008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Report 5 더 얇게 더 아름답게이번 전시회에서는 ‘디자인 테크’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
로 제품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선보였다.색상과 소재의 변화를 시도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평판TV가 단연 눈길을 끌었다. 두 회사는 블랙과 레드 색상을 전면에 내세우고 하이그로시와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못하다가 결국 쓰러져 죽는다. 발병 과정에서 가려움을 참지 못해 벽에 대고 털이 벗겨질
정도
로 등을 긁어대 스크래피(scrapie)라는 병명을 얻었다.그 뒤 연구자들은 CJD도 같은 계열의 질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가이두섹 박사는 쿠루로 죽은 사람의 뇌조직을 갈아 동물에 넣어주면 비슷한 병에 ... ...
불타는 나의 로봇 본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마우스는 바로 초기의 MR을 이끌어가던 로봇. 교내에 ‘MR배 마우스로봇대회’가 생길
정도
로 MR이 만든 마우스의 성능은 압도적이었다.처음에 MR는 마이크로로봇 경연대회에 참가하며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1996년부터는 축구로봇에 주력해 ‘로봇축구 월드컵’에 출전했고 1998년 프랑스 월드컵을 ... ...
한반도 수호천사 COMS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정확히 구분하지 못했다.안 단장은 적조를 일으키는 식물플랑크톤이 빛을 흡수하는
정도
(흡광도)를 이용하면 부유물과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적조를 일으키는 식물플랑크톤의 색소인 클로로필은 440~680nm(나노미터, 1nm=${10}^{-9}$m) 파장의 청색 빛을 가장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진한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안 보일
정도
로 작지만 저마다 천생연분이 있습니다.”오병하 단장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
로 작은 생체분자의 짝을 찾아주는 일에 푹 빠졌다.단백질의 모양을 밝혀내면 어떤 단백질들이 짝이 될지 추측할 수 있다. 그는 “A단백질이 자물쇠 모양이라면 A단백질의 천생연분은 열쇠 모양 단백질이 될 ... ...
이전
806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