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판
간행
발간
출간
발급
발포
공표
뉴스
"
발행
"(으)로 총 999건 검색되었습니다.
홍합과 오징어빨판 따라했더니 선박에 달라붙던 해양물질 사라져
2016.02.01
코팅 소재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
하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지난달 26일자에 실렸다. ... ...
긁히거나 늘어난 그래핀, 은(銀)으로 복원한다
2016.01.20
소재에도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미국화학회(ACS)가
발행
하는 학술지 ‘ACS Nano’ 지난해 12월 29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연구에 참여한 윤태식(왼쪽), 김재한 KAIST 연구원. - KAIST ... ...
[신나는 공부]EBS 교재, 어렵게(?) 공부하라
동아일보
l
2016.01.19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연계 교재 중 하나인 ‘EBS 수능특강’이 25일
발행
될 예정이다. 수능을 대비하려는 수험생이라면 위의 조언을 새겨들어야 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수능과 EBS 교재의 연계율은 70% 수준이지만 수험생이 체감하는 연계율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교육부가 ... ...
메르스 한국서 변이 ‘뒤늦게 알려져’…美 CDC
발행
국제학술지(EID)에 발표
동아닷컴
l
2016.01.09
어떤 영향을 줬는지는 알 수 없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질병통제센터(CDC)가
발행
하는 저명 국제학술지(EID) 1월호에 발표됐다. 사진=메르스 한국서 변이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 ...
“2016년이 진짜 승부”… 더 뜨거워진 ‘페이전쟁’
동아일보
l
2016.01.08
스마트폰을 이용해 결제를 받도록 할 계획”이라며 “특히 개인 사업자들은 할인쿠폰
발행
등 마케팅 수단도 직접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는 소비자와 사업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결제가 이뤄지는 ‘앱투앱 결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간편결제 서비스를 ... ...
애플 제친 ‘핏비트’처럼… 될성부른 떡잎 키우자
동아일보
l
2016.01.06
스퀘어로 결제한 후에는 영수증을 출력하지 않아도 되지만 한국에서는 종이 영수증을
발행
하도록 되어 있어서 관련 서비스를 선보일 수 없다. 임 센터장은 “국내 스타트업의 창업 아이디어가 각종 규제에 묶여 제한적”이라며 “규제를 걷어내야 성공하는 스타트업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
스마트시대, 새해 ‘카톡’ 창을 열며
2016.01.03
연하장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1975년에는 봉투 안에 엽서를 넣은 현대식 연하장이 처음
발행
됐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연하장을 대신하는 방법이 속속 등장했다. 전보로 간단한 문구를 보내는 ‘연하전보’가 인기를 끌면서 115번 전화로 신청할 수 있는 ‘연하전보카드’가 한때 ... ...
“과학 대중화-전문화 이끈 한국의 내셔널지오그래픽”
동아일보
l
2015.12.31
달 창간 30주년을 맞는다. 1986년 1월
발행
된 창간호부터 이달 나온 과학동아(360호)의 총
발행
부수는 약 1300만 부. 한 줄로 쌓으면 에베레스트 산 높이의 12배에 이른다. 종이매체 위기론이 나오지만 과학동아는 예외다. 다른 잡지들은 광고수익에 기대지만 과학동아는 제값 주고 사려는 독자가 많다. ... ...
[과학동아 30주년 편집인 칼럼] 열두 개의 에베레스트산을 만들기까지
2015.12.30
열띤 토론을 하기도 합니다. 잡지의 두께가 1cm도 안 되는 과학동아를 지난 30년간의
발행
부수(약 1300만 부)만큼 쌓으면 세계 최고의 산인 에베레스트(8848m)의 12배에 이릅니다. 독자들에게 과학동아는 무엇일까요? 누구에게는 이과라서 한 번 본 잡지 일수도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진로를 결정하게 된 ... ...
어미개 내리사랑은 딱 7주까지
2015.12.14
지 7주 뒤부터는 새끼에게 음식을 쉽게 양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 영국왕립학회가
발행
하는 저널 ‘왕립오픈사이언스(Royal Society Open Science)’ 9일 자에 발표했다. 생후 7주는 새끼가 어미의 젖을 떼는 시기다. 인도에는 주인 없이 길거리를 떠도는 개가 많다. 이들은 야생과, 길들여진 삶의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