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판
간행
발간
출간
발급
발포
공표
뉴스
"
발행
"(으)로 총 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피부는 호크아이를 구할 수 있을까
2015.05.08
달아 사람의 피부가 느끼는 모든 감각을 느끼도록 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발행
하는 기술 분석 잡지 ‘테크놀로지 리뷰’는 “지금까지 개발된 인공피부 중 가장 민감하다”고 평가했다. 김대형 서울대 교수팀이 지난해 개발한 인공피부. 최대 50%까지 늘어난다 - 서울대 제공 김 교수팀은 ... ...
버튼만 누르면 투명 유리창이 TV로 변신
2015.04.29
LCD)를 오갈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해 그 결과를 미국물리학회에서
발행
하는 ‘AIP 어드밴시즈(AIP Advaces)’ 28일자에 게재했다. 유리창처럼 투명하지만 언제든지 TV나 컴퓨터 화면으로 쓸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는 그간 꾸준히 진행돼 왔다. 그러나 전기변색기술이라는 ... ...
교실에 과학동아 선물하세요~
2015.03.06
최고의 과학 교양지 ‘과학동아’와 국내 유일의 수학 전문잡지 ‘수학동아’, 격주로
발행
되는 ‘어린이 과학동아’ 중 하나다. 이들 잡지는 전용 책꽂이와 함께 교실로 배송되며, 캠페인에 참여한 사람에게는 도심 속 천문대인 ‘과학동아 천문대’를 체험할 수 있는 5만 원 상당의 2인 초대권이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차이인지 당사자인 돌리 파튼은 꽤 쿨하게 대응했나 봅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발행
하는 ‘테크놀로지리뷰(Technology Review)’ 2002년도 기사에 따르면, 돌리 파튼은 “오히려 영광(I’m honored)”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좌] 연구진을 이끌었던 이언 윌머트 박사, [우] 너그러운 이해심을 ... ...
학술지 ‘네이처’
발행
기업, 독일 회사와 합병
과학동아
l
2015.02.12
하는 미디어 회사다. 스프링거 사는 2900종 이상의 과학․기술 분야 국제학술지를
발행
하고 19만 종 이상의 전문서적을 펴낸 출판 기업이다. 이번 합병으로 연 매출이 1조8000억 원이 넘고 직원 수만 1만3000명에 이르는 초거대 과학미디어 회사가 탄생할 전망이다. 맥밀란의 소유주인 독일 ... ...
미세먼지, 뱃속의 아기 노린다
과학동아
l
2015.02.11
가 가장 위험한 시기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가
발행
하는 학술지 ‘환경보건전망(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2월 18일자에 실렸다. ... ...
치아뿌리 만드는 핵심 유전자 찾았다
2015.02.05
정상 쥐(가장 왼쪽)와 달리 오스테릭스 유전자를 제거한 쥐에서는 치아뿌리가 짧고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북대 제공 국내 연구진 ... 치아 실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치과연구학회가
발행
하는 ‘치과연구지’ 온라인판 지난달 7일자에 실렸다. ... ...
요즘 드라마 ‘남주’는 왜 다 ‘다중인격’일까
2015.01.23
제기한 학자도 있다. 스티븐 리 미국 빙엄턴대 교수팀은 2012년 미국심리과학회가
발행
하는 학술지에 잠을 한 번에 푹 자지 않고 여러 차례 나눠 자는 쪽잠이 해리성 정체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린 교수는 “나쁜 기억이나 트라우마(정신적 외상)가 수면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면서 ... ...
생각이 잘 안 날 땐? 일단 눈부터 감으세요
2015.01.18
시청각 정보를 더 정확히 기억해낼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보고서를 영국심리학회가
발행
하는 학술지 ‘법과 범죄심리(Legal and Criminological Psychology)’ 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178명에게 영화를 보여줬다. 이 영화는 부잣집을 찾아간 전기기사가 물건을 훔치는 내용이었다. 영화 ... ...
‘뉴로마커’가 예측하는 나의 미래
2015.01.09
통해 정확도가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옥스퍼드대 출판사가
발행
하는 뇌과학 저널인 ‘대뇌피질’에 실렸다. 난독증에 관여하는 뇌 부위는 전두엽 하이랑(붉은색)으로 이 부위가 활성화될수록 난독증을 치료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왼쪽). 수학 실력은 기억과 학습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