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시스템은 크게 선천 면역반응과 후천 면역반응으로 나뉜다. 선천 면역반응은 인체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면역 신호물질과 호중구, 대식세포, 자연살해세포 등 면역세포가 항원을 물리치는 경우를 말한다. 반면 후천 면역반응은 항원의 특징을 매우 특이적으로 잡아내는 방식으로 항원을 완전히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신종플루 백신인 ‘그린플루-에스’에 대한 사용승인을 받았다. 기존의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량해 신종 감염병에 대응한 성공사례였다. 문제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불거졌다. 당시 독일 정부가 일반인에게는 영국 제약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개발한 ‘팬덤릭스(Pandemrix)’를, 정치인과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능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본래 정해져 있는 상식을 깨부수는 것이 파급력이 있듯, 기존 생물 분류의 관념을 깨는 바이러스 연구 결과들이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다. 아직 바이러스가 생물이란 걸 인정받진 못했지만, 바이러스는 점점 생물에 다가가고 있다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무기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유전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치명적이고 전파율도 높은 신종 바이러스가 개발되지 않으리란 보장도 없는 셈이다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Q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아도 위치를 알릴 수 있다고? A 응! 기존 자율수중로봇들은 GPS 센서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면으로 올라와 GPS 신호를 받아야 했어. 만일 바다 표면이 얼면 바다 위로 올라오지 못할 수도 있었어. 반면, 난 바닷속에서도 위치를 ...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위험을 예측하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최적의 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일이죠. 특히 기존에 사례가 없었던 문제까지 인공지능으로 적합한 처리 과정을 찾고 그 결과를 예측하려고 해요.예를 들어 자동차가 지나다니는 다리에 금이 갔다고 할게요. 저는 어느 위치에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디지털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포에 붙도록 한다. NA 단백질은 증식된 바이러스가 다른 숙주세포로 옮겨갈 때 기존에 감염된 숙주세포와 바이러스 입자 간의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RNA에 담아 놓은 RNA 바이러스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8개의 RNA 분절로 이뤄져있어 복제 시 재조합이 ...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2012년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와 동일한 베타(β) 코로나바이러스 계통이지만, 기존에 없던 새로운 종으로 확인됐다. 박쥐를 숙주로 삼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체와 89.1% 일치하지만, 실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부위는 달라 계통학적으로는 신종으로 분류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출현으로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본 방어 도구(면역세포)를 활용해 침입자를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후천 면역반응은 기존에 있던 방어 도구로는 대응할 수 없어, 침입자에게 대항할 무기를 갖추도록 면역세포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방어 도구를 생성해 침입자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 몸은 침입자가 체내에서 ... ...
- 성층권에 기구를 띄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덜 쓸 수 있어 로켓을 작게 만들어도 되지요. 레오 에어로스페이스는 로켓의 크기를 기존보다 50%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또 로켓을 발사대에 장착하고 발사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발사 시점과 궤도를 선택하기 수월하고, 발사 대기 시간도 단축할 수 있지요. 최근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