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아프리카 거대 구름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중력을 받아 하강하면서 만드는 ‘대기 중량파’를 꼽았다. 아프리카에서 불어온 육풍이
바다
위 안정적인 공기와 만나 형성된 대기 중량파가 구름을 섞고 증발시킨다는 것이다. 유터 교수는 “구름은 지구 온도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른 구름의 ... ...
[Culture] 신과 함께? CG와 함께! 지옥과 현실을 잇는 컴퓨터그래픽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향후 타네에 대한 기술적인 검증을 거쳐 영화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과
바다
등 유체는 CG 작업에서 난이도가 가장 높은 대상으로 꼽힌다. 물로 뒤덮인 공간은 배경이지만 끊임없이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2편에서는 삼도천(저승에 있는 거대한 강)의 비중이 늘어 강을 사실감 있게 ... ...
[Future] 중국이 짓겠다는 135km 해저터널, 양대 기술 쟁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중국의 핑탄현과 대만의 신주시 사이에는 섬이 단 한 개도 없다는 점이다. 이 말은 곧
바다
에 인공섬을 직접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해저터널의 길이가 135km이면 인공섬이 최소 3개는 필요하다. 전 교수는 “중국은 인공섬을 만드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긴 하지만, 이들을 구축하는 데 막대한 ... ...
[과학뉴스] 바닷속 DNA로
바다
소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발견되면 형광을 내는 탐지기를 만들었어요. 연구자들은 “이 방법은 멸종 위기에 처한
바다
소의 서식지를 찾고 그들을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밝혔어요 ... ...
[통합과학 교과서] 토끼 찬스 발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이전에도 대서양을 횡단하려는 항해자들은 많았어요. 이들은 위도 30°부터 60° 사이의
바다
에서 이동했는데, 유럽에서 아메리카 대륙을 향해 이동하려면 편서풍에 맞서야 해요. 결국 이들은 편서풍을 이겨내지 못하고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하지 못했지요. 한편 콜럼버스는 바람과 파도를 아주 잘 ... ...
탐루엉 동굴 조난 사고의 기적, 생명을 구한 잠수의 기술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물속에서는 지상과 다르게 행동해야 한다. 수심에 따라 수압이 변하기 때문이다. 보통
바다
에서 10m씩 깊어질 때마다 수압은 1기압씩 높아진다. 잠수사는 수심에 따라 변하는 수압에 대비해야 한다. 잠수사가 짊어지고 잠수하는 공기탱크 안에는 질소 약 78%와 산소 약 20%가 섞인 공기가 들어있다. ... ...
[과학뉴스] 플라스틱 빨대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먹은 물고기는 먹이사슬에 따라 인간의 식탁에 다시 오르기도 합니다.아름답고 건강한
바다
와 우리의 미래를 위해 오늘부터 불필요한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여 보는 것은 어떨까요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석고 광맥 등 물의 존재 가능성을 높이는 증거들이 속속 드러났다. 한때 화성에 거대한
바다
가 존재했다면 생명체가 있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이후 과학자들은 화성과 지구 모두에서 인간의 거주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대표적인 연구가 용암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 생명체를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지면이 해수면보다 딱 1.5m 높다. 지구온난화로 해수면이 조금만 더 상승해도 몰디브는
바다
속으로 사라지고, 몰디브 국민 44만4000여 명은 살 곳을 잃은 기후 난민이 된다.몰디브뿐만이 아니다. 카리브해와 태평양 섬나라들의 경우 인구의 50% 이상이 해안선으로부터 1.5km 이내에 살고 있어 해수면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우주에서 날아오는 강력한 에너지를 가진 자외선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워졌다.
바다
속에서 살던 생물들은 서서히 육지로 그 모습을 드러냈으며, 삶의 터전이 해상에서 육지로 확대됐다.지구의 역사를 바꾼 두 번째 화학반응은 바로 화석연료의 연소다. 화석연료를 발견하기에 앞서 인류는 불을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