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안녕, 나는 바퀴벌레 로봇. 지금 긴급 상황이 발생해서 나와 친구들이 출동 중이야. 건물이 무너져서 사람이 그 아래 깔려 있다고 하지 뭐야. 구조대원들이 빨 ...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힘든 농사일도 우리가 도와 줄게!농업 역시 군집로봇이 활약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예요. 경작, 모내기, 수확 등 시기별로 작업이 정확히 이뤄져야 하고, 많은 ...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바깥쪽 지각에서부터 맨틀, 핵 순으로 지구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밀도가 커진다. 마그마 바다가 형성될때 밀도가 큰 철과 니켈 등 금속물질이 가라앉아서 핵이 됐기 때문이다. 물을 이루는 수권 수권의 대부분은 해수로, 약 97.2%를 차지한다. 하지만 수권이 반드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은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짜잔~. 이게 너희가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때 봤던 수호랑이야. 나 혼자라면 수호랑을 만들지 못 했겠지만 친구들과 함께라면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지. 자, 이번 ...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 ...
- 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미래형 로봇, 군집로봇의 등장지난 2014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은 ‘킬로봇(Kilobot)’이라는 작은 로봇을 만들었어요. 킬로봇은 500원짜리 동전 크기에 막대다리 ...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 ...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으랏챠차! 안녕, 나는 키바라고 해. 나와 수천 대의 내 친구들은 무려 100kg도 넘는 크고 무거운 선반을 이고 물류 창고를 돌아다니지. 하지만 우린 절대 부딪치지 않 ...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책임연구원을 거쳐 2014년부터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육지과 바다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특성, 지진과 단층의 상관성, 지하구조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폭이 좁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기구 회수는 바다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바다를 통한 임무장비 회수 기술을 보유한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수를 제외한 벌룬의 발사와 추적까지는 완벽하게 이뤄졌으니, 나름대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발사였다. 독자들이 이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5월 10일은 바다식목일입니다. 육지에 나무를 심는 것처럼 바다에 해조류를 심어 숲을 만드는 날이에요. 바다에 왜 숲이 필요한 걸까요? 또 해조류는 어디에 심는 걸까요? 답 ... 관심을 가져야겠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좋은 건 인공어초가 더는 필요없는 진짜 푸른 바다가 되는 거겠죠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해양에너지나 해양플랜트 등을 유지하고 관리하려면 잠수부가 직접 바다에 들어가야 하는데, 20m 내외의 얕은 수심에서만 작업할 수 있고 위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며 “수중로봇을 이용하면 이보다 훨씬 깊이 들어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김현식 동명대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