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980년대 이후 카리브해 지역에서 90% 가량 멸종한 ‘석산호(staghorn coral)’를 배양한 뒤 바다에 이식했다. 이식된 산호는 야생 산호와 비슷한 생존력을 보였다. 건강한 산호의 정자를 채취해 장기 보존하는 ‘정자 은행’도 생겼다. 호주 타롱가보호협회는 31개 산호초 지대에서 1710억 개의 산호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내리는 비행기를 말해요. 영화의 배경인 20세기 초반에는 활주로가 별로 없었기 때문에 바다만 있으면 어디서든 뜨고 내릴 수 있는 비행정이 인기를 끌었습니다. 비행정을 날리는 ‘베르누이 방정식’비행정은 활주로를 달리는 비행기와 뜨고 내리는 장소가 다를 뿐 나는 원리는 같습니다. 이들이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깊이, 수온, 염분 및 난류 등 여러 데이터를 기록해 전송하지요.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바다와 빙붕의 관계를 파악하기를 기대하고 있답니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과학자들도 빙하의 틈 사이로 내려갈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고 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은 46m 아래까지 내려가 카메라와 ... ...
- [통합과학 교과서] 지구의 속사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구공동설에 따르면 지구 안에는 또다른 태양과 세계가 있어요. 이 세계에서 육지는 바다보다 3배 넓고, 기후는 어느 땅에서나 일정하지요. 또한 이곳에 사는 사람은 수명이 600~800세나 되고, 키도 3m나 된다고 해요. 그리고 남극과 북극에 이 세계로 갈 수 있는 통로가 있는데, 이 통로를 통해 지구 ... ...
- [과학뉴스] 괌 앞 바다산에 출연연 이름 붙는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동쪽 앞바다 해산에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이름이 붙는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2016년 취항한 이사부호 탐사팀이 발견한 수중화산의 이름을 ‘키오스트 해산(KIOST Sea Mount·아래 오른쪽 사진의 빨간 네모)’으로 정했다고 1월 16일 밝혔다. 이 해산은 박요섭 책임기술원 등 연구진이 지난 ... ...
- [과학뉴스] 육지에서 바다로 간 도마뱀 화석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헤르조기(Vadasaurus herzogi)’ 화석을 발견했어요. 이 화석은 1억 5500만 년 전의 것으로 바다 사우루스는 육상동물과 수상동물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어요. 수영을 위해 머리는 삼각형이고 꼬리가 길면서도 육상동물과 같이 사지가 길었지요. 이는 육상동물이 수상동물로도 진화했다는 증거랍니다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시를 위해 지난 4년 간 로멜라 연구소에서 개발한 15대의 로봇이 미국에서부터 바다 건너 한국을 찾아 왔어요. 휴머노이드 로봇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기상천외한 로봇이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됐지요. 바로 절대 넘어지지 않는 풍선 로봇 ‘발루’와 멀티 이동 로봇 ... ...
- [과학뉴스] 백조 닮은 육식 공룡 있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종 공룡이 육지와 바다 양쪽에서 서식한 것으로 추정했다. 노처럼 생긴 앞 발뼈는 수영에 유리하고, 11개의 날카로운 이빨은 물고기 사냥에 적합하다. 또 긴 목 때문에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지 않도록 큰 골반을 가진 점 등이 그 ... ...
- [과학뉴스] 개복치 족보 다시 쓰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눌린 타원형 몸통, 두꺼운 가죽 같은 피부, 닭 벼슬을 연상케 하는 방향타까지. 개복치는 바다에서 가장 독특하게 생긴 물고기 중 하나다. 길이 약 3m, 무게 약 2000kg로 몸집도 거대하다. 하지만 주로 심해에서 살고 있어 종이나 습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에추로 사와이 일본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진입하는 시점과 장소를 미리 설계해, 소각되지 않고 남아서 지상으로 떨어지는 파편을 바다나 사막 지대로 유도하는 방법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ISS를 지구로 복귀시키지 않고 재활용할 가능성도 있다. 가장 간단한 방식은 ISS를 민간에 판매하는 시나리오다. 이미 미국의 항공우주기업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