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대형 웅덩이를 메우기로 결정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사라진 모래를 찾아라!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Part 4. 모래,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한 ... ...
- 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규소 사용량은 30% 정도 증가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사라진 모래를 찾아라!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Part 4. 모래,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한 . ...
- Part 4. 모래,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모래를 채취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사라진 모래를 찾아라!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Part 4. 모래,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한 ... ...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이 충돌로 공룡이 멸종했다고 보고 있어요. 2016년 4월, 국제 연구팀이 해저 시추 를 통해 바다 속 506~1335m에 묻혀 있던 칙술루브 충돌구의 해저 토양을 채취했어요. 해저 토양은 풍화작용을 받지 않아서 육지보다 덜 손상됐지요. 이후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조안나 모르간 교수팀이 이를 분석한 ...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거예요. 저는 얼음 위성인 엔셀라두스의 남극 지역에서 솟아나는 따뜻한 물기둥과 바다를 발견했어요. 그리고 물기둥 성분을 분석한 결과 물과 수소, 이산화탄소와 메탄 그리고 암모니아 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지요. 이것은 생명체의 먹이가 있다는 증거예요. 아쉽게도 저한테는 생명체 판독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희박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심해 생물을 괴롭히는 건 빛과 산소보다도 수압이에요. 바다 깊이 내려갈수록 수압이 커지는데, 수심 1만m에서는 지상의 1000배에 달하는 압력을 느끼게 되거든요. 높은 수압은 생물의 세포를 파괴해요. 그래서 심해 생물은 수심 8200m까지만 살 수 있을 거라고 예상되고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이클립스 메가무비’개기일식은 지구 표면의 아주 좁은 지역을 통과하면서 일어나요. 바다나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지역인 경우도 많지요. 그런데 올해 개기일식은 미국 여러 도시들을 통과하며 이어져 일반인들도 쉽게 볼 수 있었어요.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축제처럼 개기일식을 ... ...
- [과학뉴스] 검은 피부로 변신한 바다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중금속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 준다”며, “주변 바다가 중금속에 오염되자 거북머리바다뱀이 오염을 피하기 위해 멜라닌 색소를 많이 만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하는 게 좋을까요? 가장 간단하지만 확실한 해답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는 거예요. “바다의 플라스틱은 썩지 않는 대신, 잘게 부숴지거나 햇빛에 녹은 상태로 있어요. 이걸 플랑크톤이 먹고, 다시 플랑크톤은 새우 등에게 먹히는 식으로 먹이사슬에 플라스틱이 쌓이지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바닷물의 표면을 흐르는 표층해류를 따라 움직이기 쉽거든요. 러버덕을 추적해 전세계 바다의 해류 지도를 작성할 계획을 세운 거예요. 러버덕을 추적한 지 15년이 지난 2007년, 에베스메이어 연구원은 드디어 해류의 흐름을 지도로 나타내 발표했어요. 1992년 맨 처음 미국 싯카에 도착한 이후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