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옆"(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단점이 있다.용골의 또 다른 주요 기능은 옆쪽 또는 앞쪽에서 부는 바람에도 요트가 옆으로 밀리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게 돕는 것이다. 이 기능은 용골을 수직으로 길쭉하게 만들며 강화됐다. 물속에서 비행기 날개처럼 날씬하고 긴 용골에는 면마다 수압이 서로 달라진다. 이 수압 차이로 용골을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공부했는데, 이게 웬걸. 듣도 보도 못했던 수능 로봇이 등장했다. 옆 나라 일본에서도, 바다 건너 미국에서도 대학 입학시험을 치르려는 로봇들이 연구되고 있다. 심지어 일본의 수능 로봇은 올해로 삼수째다.일본의 도로보쿤은 국립정보학연구소(NII)가 2011년에 개발한 로봇으로, ...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답니다.솜 대신 기계가 들어 있는 ‘체형교정용 공학베개’도 전시되어 있어요. 베개 옆에 있는 둥근 손잡이를 돌리면 기어와 톱니바퀴, 크랭크 같은 84개의 부품들이 움직이면서 베개의 모양이 바뀌어요. 사람마다 다른 머리 모양과 높이에 맞춰 높이 베개의 높이를 1mm씩 조절하는 거지요 ... ...
- 다람쥐 VS 청설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사이를 미끄러지듯 날아다니는 커다란 다람쥐예요. 몸길이가 무려 40~45cm나 되지요. 몸 옆구리에 피부가 자라서 생긴 ‘익막’이라고 부르는 막을 갖고 있어요. 나무 사이를 날아다닐 때면 익막을 활짝 펴서 글라이더처럼 공기 중을 미끄러지듯 날지요.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기 때문에 ...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가미된 기둥을 세웠어요. 민흘림기둥은 사각뿔대 모양으로, 옆면은 사다리꼴이죠. 이런 옆면은 윗부분은 좁고 아랫부분이 넓어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기둥을 수직으로 올렸을 때 아래에 비해 윗부분이 크게 보이는 착시현상을 교정할 수도 있어요. 그리고 얇고 넓은 지붕돌은 약간의 경사를 둬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예상한 바였다. 짧기로 유명한 활주로에서 비행기는 문자 그대로 급정거했고, 활주로 옆 철조망에 다닥다닥 붙어 서서 일행을 뚫어져라 구경하는 현지인의 시선은 사뭇 두려웠다. “직업이 딱히 없는 현지인들이 많습니다. 하루 한 번씩 비행기에서 내리는 외지인을 보려고 저렇게 몰려드는 거예요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3년간 저자 순서교체나 저자 끼워넣기 등 연구 부정행위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바로 옆에서 목격한 사람까지 포함하면 66%에 이른다. 소수가 겪은 문제가 아니라 보편적인 일이라는 뜻이다.연구자 절반이 경험… 이슈화도 안돼강도를 당하면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 그래야 또 다른 강도질을 막을 수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속이 뻥 뚫리는 것 같다면 TV 속 래퍼의 감정이 전이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바로 옆에 있는 사람도 아니고 TV를 통해 보는 래퍼의 감정이 시청자에게 전이 될 수 있을까. 지난해 6월,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제이미 길로리 교수팀과 페이스북 코어 데이터 사이언스팀은 직접 접촉이 없이도 ...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5~10마리가 살았다.08월 25일 저녁 7시 40분, 경기도 수원시 외곽에 위치한 일원저수지 옆 작은 논. 김예은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연구원(석사과정)이 투명한 플라스틱 수조를 든 채 어둠이 깔린 논에 들어갔다. 신발을 벗어 던진 맨발 차림이었다. 안개비가 살짝 내리고 있었지만 우산은 쓰지 않았다.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줄어들어 배도 조금 들어가요.이때 씹기근육도 줄어들었어요. 씹기근육은 머리 옆부터 턱까지 감싸는 근육으로, 턱관절을 움직여 음식을 씹는 데 쓰여요. 채소를 많이 먹을 땐 크게 발달해 있던 씹기근육이 고기를 먹게 되자 줄어든 거지요. 그간 큰 씹기근육은 뇌용량이 커지는 걸 방해하는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