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옆"(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속이 뻥 뚫리는 것 같다면 TV 속 래퍼의 감정이 전이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바로 옆에 있는 사람도 아니고 TV를 통해 보는 래퍼의 감정이 시청자에게 전이 될 수 있을까. 지난해 6월,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제이미 길로리 교수팀과 페이스북 코어 데이터 사이언스팀은 직접 접촉이 없이도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금속이나 반도체 표면에서 전자가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됐다.곧바로 전구 안의 필라멘트 옆에 금속판을 놓고 실험했다. 이때 금속판은 필라멘트보다 전자가 부족한 상태였다. 이 상태로 전구 안에 전류가 흐르자 필라멘트는 발갛게 달아오르기 시작했고, 열 때문에 필라멘트에서 나온 전자는 전자가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 실제 곤충처럼 다리를 구부리거나 옆으로 걸을 수도 있다.치타 로봇실제 동물처럼 걷거나 빠르게 달리는 로봇미국 MIT(매사추세츠 공대) 생체모방로봇연구실 김상배 교수 연구팀은 치타가 걷거나 뛰는 모습을 흉내 낸 ‘치타 로봇’을 개발했다. 이 ...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배열이다. 붉은색 줄무늬 옆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으면 맹독성의 산호뱀, 붉은색 줄무늬 옆에 검정색 줄무늬가 있으면 독이 없는 우유뱀이다. 미국에서는 이 두 종류의 뱀을 구분하기 위한 운문도 존재한다. “Red touch black, venom lack, red touch yellow, kills a fellow(빨강과 검정이 만나면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봅시다. 정면에서 보는 마리오, 옆에서 보는 마리오는 전혀 다른 이미지입니다. 여러분이 옆으로 이동하면 정면의 마리오에서 측면의 마리오로, 디스플레이에서 보여주는 이미지 자체가 달라집니다. 좌우상하,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3D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사 과거보다 굉장히 많이 ...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거래를 맡기 시작한 것이다. 트레이딩 플로어는 텅 비었고, 뉴저지 주(뉴욕시 바로 옆의 주) 북부 13개 거래소의 컴퓨터 서버에서 모든 거래가 이뤄진다.중개인이 사라지자 다음은 투자자가 사라졌다. 가격, 추세, 거래량 등을 분석해 컴퓨터가 직접 의사결정을 해 주식을 사고파는 알고리듬 거래가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달리 건조했다. 햇살이 내리꽂히는 아스팔트에선 아지랑이가 피어올랐지만, 바로 옆의 그늘만 들어가도 쌀쌀해 옷깃을 여며야 했다. 뉴스에선 연일 산불 소식을 알렸다. 학교 안에서 가뭄의 흔적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하루 종일 돌아다닌 끝에 ‘노랗게 뜬 나뭇잎’과 ‘바닥을 드러낸 시냇물’을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맞닿은 지역이다. 종이와 먼 지역일수록 그림자로 나타난 땅의 모양이 길어지거나 옆으로 퍼진다.종이를 둥글게 말아 위아래가 뚫린 원통으로 만들고 그 안에 지구를 넣어서 원통 면에 땅의 모양을 투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원통과 직접 맞닿는 지역이 가장 정확하게 그려진다. 우리나라처럼 ... ...
- [참여] 열쇠로 상자 열고, 수학으로 퍼즐 풀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퍼즐에 도전한 장한결 독자기자는 꾀를 내 출발선 뒤로 차를 모는 아이디어를 냈다. 옆에서 지켜본 기자도 정답이라고 생각했지만 출발선 뒤로 가면 안 된다는 조건이 붙자 조금 더 고민을 더 해야 했다.피타고라스의 공간을 지나면 ‘수학과 예술의 만남’이라는 방으로 갈 수 있다. 여기서는 지난 ...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사람이 만들었다 보니 손자국이나 굴곡 등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옆에 이어질 조각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두께도 각기 다르기 때문에 두께 별로 구분해 두면 비슷한 조각을 찾기 쉽습니다. 바닥 부분은 거칠기 때문에 금세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조각을 찾으면,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