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뉴스룸-니버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동시에 관찰할 수도 있지요!ESA (당황) 아니 뭐 여기 싸우러 나온 것도 아니고…, 두
위성
이 사이좋게 취재를 하면 되지요. 지구의 ‘피부수분관리사’랄까요? 허허, 많은 사람을 살릴 수 있을 겁니다. 홍수가 나서 물에 잠길 지역도 같이 예측하고 얼어 붙은 땅이 언제 녹는지 예측도 하고….나사 앵커 ... ...
1억 번째 태양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상공에서 사진이 날아왔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10년 2월 11일 발사한 태양활동관측
위성
(SDO)이 보낸 사진이에요. 올해로 만 5년이 된 SDO는 그동안 어마어마한 양의 태양 사진을 보냈지요. 그리고 1월 19일 미국 동부표준시간 오후 12시 49분, 1억 번째 사진을 찍었답니다.SDO에는 관측카메라가 4개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막상 여름이 오면 계곡에 물이 흐르지 않게 됐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그레이스(GRACE)
위성
이 내놓은 결과는 더욱 충격적이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제이 파미글리에티 박사는 2014년 11월 ‘네이처 기후변화’에 논문 한 편을 발표했다. 파미글리에티 박사는 가뭄 때문에 지구 전체의 지하수 사용이 ... ...
[이달의 사물] 구글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공익적 취지다. 장난 같은데 이게 진지하다. 지난 가을 한국의 내로라하는 행성 및
위성
연구가들이 모인 학술워크숍 자리에서도 ‘달 정복(?)’ 작전이 논의되는 걸 봐서, 이 행사에 전문가들도 관심이 적지 않다. 당시 충남대 천문우주학과 이유 교수는 “달에 있는 화산성 동굴이 거주지로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바이오큐브랩’ 임무를 제안하며 이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어요.”1kg짜리
위성
하나를 1억 원 정도면 발사할 수 있다고 했다. 굳이 비싼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가지 않아도 되니 얼마나 좋은지. 더구나 추진모듈까지 더하면 항성간 우주선 탑재물로도 개발할 수 있다고 했다. 노아의 방주처럼 ...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계획이 있나요?A 당장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동료 작가들과 전시회를 여는데, 제가 인공
위성
을 만들 때 배웠던 노하우를 전시해요. 인두와 납은 어디서 구하는가 같은 깨알 팁들을 소개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원래 제가 궁금해하던 것인 ‘우리가 왜 존재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 ...
[생활] 허리케인이 만든 음악을 들어보세요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인터넷에 공개된 믿을만한 정보와 비교하는 작업을 거쳐 자료를 선별했다. 주로 공개된
위성
사진이나 기상 관측소의 데이터, 해안가의 부표로 측정한 실제 통계 자료를 이용한다. 이렇게 모은 자료는 작업실 한쪽 벽면을 가득 메울 만큼 엄청난 양이다. 미에바크는 이중에서 작품과 기상 현상에 따라 ... ...
[과학뉴스] 오래전 실종된 화성 탐사선이 발견됐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영국우주국(UK Space Agency)은 지난 2003년 크리스마스 날 화성에 착륙할 예정이었다가 교신이 끊긴 화성탐사선 ‘비글 2호’를 최근 화성 정찰용 인공
위성
이 발견했다고 밝혔다. ...
[Hot Issue] 제1회 우주 청소기술 경연대회 - 우주쓰레기 뭘로 없애지?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모면했지만, 하마터면 영화 ‘그래비티’처럼
위성
이 박살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위성
궤도에 가득 찬 위험천만한 우주쓰레기를 치울 방법은 없을까. 과학동아에서 ‘최고의 우주환경미화원’을 뽑는 자리를 마련했다. 면접관은 영화 그래비티의 두 주인공이다.산드라 블록(면접관) : 요새 ...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때문이라는 지동설을 발표해 유럽을 발칵 뒤집었습니다. 갈릴레오가 목성 주위를 도는
위성
을 발견하면서 모든 천체는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는 천동설은 완전히 설 자리를 잃게 됐죠.한편 케플러는 방대한 관측자료를 분석해 행성은 타원 궤도를 움직인다는 ‘케플러 법칙’을 발표합니다. 하늘의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