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온난화와 중위도 기후변화의 관계가 사실인지 파악하기 위해 1979년부터 현재까지 인공
위성
으로 관측한 해빙의 양 자료를 살펴봤다. 그 후 북극 해빙이 현저히 적었던 해에 기온과 대기 순환이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했다. 북극 해빙 중에서도 기온 및 대기 순환과 특히 관련이 높았던 지역은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FAI)이 우주와 지구의 경계로 규정한 고도다. 공식 이름은 ‘우주탄도비행’이다. 인공
위성
궤도까지 올라가지 못하지만 가격이 궤도 우주여행의 100분의 1 정도로 싸다. 긴 비행이 반갑지 않다면 활주로에서 100km까지 곧바로 이륙하는 ‘로켓플레인’을, 좀 더 스릴을 느끼고 싶다면 15km 상공까지는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게다가 그림의 표현 방식은 요즘의
위성
영상과 놀랍도록 닮았다. 이 때는 최초의 인공
위성
이 우주로 올라간 때(1957년)보다 한 세기 이상 앞선 시대였다. ▲ 목숨 걸고 만든 첫 해류지도오늘 교과서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배우는 해류지도는,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직접 바다를 관측한 덕분에 얻을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만드는 비행 방법)을 통해 시험했다”고 말했다. 메이드인스페이스는 “앞으로 인공
위성
, ISS에서 필요한 작은 부품과 우주생활에 필요한 일용품까지 3D 프린터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버진갤럭틱 역시 NASA와 손잡고 이 프로젝트에 참가할 예정이다.현재 ISS는 필요한 물품을 전량 ... ...
태양, 표면보다 대기가 뜨거운 이유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관측으로 증명되지 않아 가설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NASA가 지난해 4월 발사한 관측
위성
‘유니스(EUNIS)’를 통해 관측한 결과, 가설을 뒷받침할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유니스는 15분 동안 태양의 주위를 돌며 6분 동안 1.3초마다 태양의 온도와 태양이 내는 빛의 파장을 조사했다. 그 결과 태양이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보유할 수 있다. 우리 태양계의 목성은 4개의 거대한 갈릴레오
위성
을 비롯해 수십 개의
위성
을 거느리고 있지만 ‘뜨거운 목성’은 가족 구성조차도 중심별의 눈치를 봐야 한다.뜨거운 목성의 종말은 어떠할까? 중심별과의 조석작용에 의해 궤도 에너지를 잃게 되면 안쪽으로 더욱 끌려들어가다가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감상해 보자.LRO가 찍은 가장 예술적인 달 사진은? 달, 얼마나 알고 있을까?지구의 유일한
위성
이자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인 달. 과학자들은 달이 약 45억년 전 지구로부터 떨어져나간 오래 된 짝꿍이라고 하지만, 사실 달에 대해 풀리지 않은 비밀들이 아직 너무나 많다.Q1. 달은 몇 살일까 ... ...
기후변화 주범 정확히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OCO-2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우주에서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관측하려고 쏘아올린 두 번째 지구관측 전용
위성
이다.2009년에 발사된 첫 우주선은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퇴치 스프레이를 아무리 뿌려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 하나 경계대상은 야생곰이다.
위성
전화와 곰퇴치 스프레이를 휴대하고 항상 단체로 움직이지만 그래도 두렵다. 더구나 현장의 이름이 블루베리가 많다고 해서 ‘블루베리 힐’인데 특히 곰이 좋아하는 과일이다. 이런 곳에, 위험을 무릅쓰고 ... ...
카시니호가 보여 주는 가장 아름다운 천체 토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탈리아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 망원경으로 처음 발견했지만 고리인지
위성
인지 잘 몰랐어요. 1655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크리스찬 호이겐스가 토성을 둘러싸는 원반이라고 처음 밝혔지요.신기한 육각형 구름토성의 북극에는 육각형으로 회전하는 구름이 있어요. ‘육각형 구름’ 또는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