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4000년 역사 ‘근의 공식’ 이제는 외울 필요 없다?! 2차 방정식 푸는 쉽고 새로운 방법 찾았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2차 방정식을 쉽게 풀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지금까지 2차 방정식을 풀 때 주로 사용하던 근의 공식은 x에 관한 2차 방정식 ax²+bx+c=0(a≠0)에서 유도한 식(아래)에 각 계수를 대입해 근을 구합니다. 반면 로 교수는 두 근의 평균을 이용한 방법으로 계산 과정을 단순하게 만들었습니다. 아래 ... ...
- 수리류의 여정을 쫓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속하는 다양한 종이 겨울엔 남쪽으로, 여름엔 북쪽으로 수천 km를 이동해요. 여름엔 주로 러시아, 몽골, 카자흐스탄 등지에서 번식하고, 겨울은 파키스탄, 인도, 서남아시아, 우리나라 등지에서 보내지요. 수리류가 이동하는 지역은 종마다, 개체마다 제각각이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이동 ... ...
- 할머니 범고래 없인 못 살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래서 ‘킬러 고래’라는 별명까지 있단다. 상어나 돌고래를 잡아먹기도 하지만, 주로 먹는 식량은 ‘시눅 연어’라 불리는 엄~청 큰 크기의 연어야.우리는 사람과 달리 수컷과 암컷의 수명이 꽤 달라. 수컷은 30년 정도밖에 못사는 반면, 암컷은 30~40살까지 출산을 하고, 이후 100살 무렵까지 살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돼 투명망토가 완성된다. 빛을 휘게 만드는 것, 즉 투명망토의 소재로는 메타물질이 주로 사용된다. 2011년부터 투명망토를 개발해온 캐나다 기업 하이퍼스텔스는 2019년 10월 동영상을 통해 메타물질로 만든 원통형 렌즈를 촘촘히 배열한 플라스틱 패널을 공개했다(QR코드 참조). 동영상에서는 패널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증폭해서 보는 야간투시경보다 관측 거리가 길어서 적을 탐지하는 데 유용하다. 그래서 주로 전차나 장갑차에 장착되거나 해안선에 배치된다.김 수석연구원이 처음 설계한 전자광학장비도 우리나라 국군 주력 전차인 K-1의 전차장조준경(CPS)에 장착된 열상감시장비다. 김 수석연구원은 “2001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통해 얻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어떤 식으로든 교류하려고 하는데요, 주로 학회나 워크숍, 세미나 등을 통해 다른 수학자와 소통합니다. 교류를 멈춘 수학자는 곧 도태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수학자의 일상을 주제로 글을 쓰려니 욕심이 나면서도 부담이 되네요. 이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총 6종(콩, 옥수수, 면화, 카놀라, 알팔파, 사탕무)의 작물만 적용 GMO로 수입 가능하다. 주로 콩과 옥수수를 많이 수입하는데, 콩으로는 식용유를, 옥수수로는 전분이나 당을 만든다. 박 교수는 “이미 많은 사람이 여러 형태로 GMO를 섭취하고 있다”며 “GMO가 식탁에 오른 지 10년 이상 지났지만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0개의 기구를 포함해 십여 개의 천문의기가 완성됐다고 나온다. 정초와 정인지는 주로 천문 서적을 탐구해 이론적 기틀을 마련했고, 장영실은 이천과 함께 천문 관측의 원리를 살펴 실제 기구를 만드는 일을 담당했다. 처음으로 망원경을 만들어 목성의 위성까지 관측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수학이 어떻게 활약했는지 알아보자.1970~1980년대에 제작된 스타워즈 시리즈에서 로봇은 주로 사람이 탈을 쓰고 연기했다. 수많은 로봇이 등장하는 전투는 묘사 자체가 불가능했다.하지만 1999년에 개봉한 스타워즈 시리즈의 1편에는 전투 로봇이 등장한다. 수학 방정식을 적용한 컴퓨터 그래픽 ... ...
- 윷놀이를 이겨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확률을 계산했어. 그 결과, 반원 윷일 때 윷이 엎어질 확률은 56%였지만, 실제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윷이 엎어질 확률은 59%였어.확률이 다른 이유는 무게중심이 다르기 때문이야.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는 통통한 윷은 반원 윷보다는 원에 가까운 모양이라, 위(절단면)에서 누르는 무게가 더 무거워.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