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구해왔다.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황금비’다.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와 중국의 양귀비 등 역사에 미인으로 기록된 인물은 얼굴에 공통적인 비율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두 눈 사이의 중앙에서 코끝까지의 길이와, 코끝에서 입술까지 길이의 비가 약 1.618대 1, 즉 황금비를 이룬다.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영국에서 함께 연구한 동료들의 국적은 폴란드, 체코, 스페인, 프랑스, 네덜란드, 미국, 중국이었어요. 노트북과 펜이 있으면 어디서든 연구할 수 있다는 것도 좋아요. 좋은 아이디어는 언제 잘 떠오르나요?사람들과 같이 이야기할때 좋은 아이디어가 잘 떠올라요. 동료와 커피를 마시면서, 혹은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형태로 새와 비슷하게 생겼지요.카우딥테릭스의 화석이 처음 발견된 것은 지난 1997년 중국 북동쪽에 위치한 요녕성이에요. 이곳에서 위석이 함께 발견되면서 카우딥테릭스가 씨앗이나 식물을 먹는 잡식성이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답니다.두 공룡 모두 용각류처럼 뱃속에 있는 질긴 식물을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처음 공개됐다. 인간 배아에서 유전자 가위 기술을 최초로 성공시킨 사례는 올해 3월 중국 연구진이다. 여기에는 인간 배아 6개가 사용됐다. 김 단장과 미탈리포프 교수 공동연구팀은 인간 배아를 54개로 대폭 늘렸다. 때문에 논문이 공개되자 학계의 관심이 쏠렸다. 그런데 8월 28일 생명과학 분야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도호쿠대 지구물리학과 교수도 백두산이 자극받았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자오 교수는 중국 출신으로 베이징대를 졸업한 뒤 줄곧 일본에서 연구해 온 일본의 대표적인 화산학자 중 한 명이다. 특히 그는 논문 당 피인용 횟수 기준으로 세계 8위에 오른 화산 학자다(2000~2010년). 2004년에는 10여 년 동안 ...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띄운다?첨단 기술이 발전한 요즘 시대에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 실제로 올해 중국에서 대입시험 ‘가오카오(高考)’를 치를 때 전자파를 탐지하는 드론을 띄웠습니다. 드론을 투입하는 이유는 컨닝용 웨어러블 기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스마트워치, 귀 속에 넣을 수 있는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발생한 인공지진의 경우 한국과 미국은 실체파 규모로 계산한 결과를 발표했지만, 중국은 어떤 규모로 계산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동일한 실체파 규모로 계산했지만 한국과 미국의 계산값에서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관측소의 지리적인 분포와 사용된 자료의 양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미국은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증명됐다. 보단 팩진스키 미국 프린스턴천문대 교수와 그의 제자 리신 리 박사(현재 중국 베이징대 카블리 천문학및천체물리학 연구소 교수)는 1998년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하면 짧은 주기를 갖는 초신성인 ‘킬로노바(Kilonova)’가 발생할 거라는 이론을 제안했다. 이 광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향 덕분에 수백 년 전부터 사랑받아왔던 ‘머스크(사향)’에 들어 있다. 천연 머스크는 중국 서부와 티베트, 히말라야 산맥에서만 서식하는 사향노루의 ‘은밀한 부위’에서만 나온다. 태어난 지 10년 쯤 된 사향노루 수컷은 교미기가 다가오면 특유의 향을 분비해 짝짓기를 할 암컷을 유인한다. ... ...
-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목이 쏠리고 있다. 백두산 연구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꼽히는 류자치(劉嘉麒) 중국과학원 원사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국제학술회의에서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번 핵실험의 여파로 백두산 인근에서는 자연지진이 세 차례 발생했다(10월 18일 기준). 백두산 지하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