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납이나 수은, 카드뮴 등의 유독 물질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지요.가나 아크라뿐만 아니라,
중국
구이유나 인도와 파키스탄 등 가난한 나라의 많은 도시들이 전세계에서 몰려온 폐전자제품으로 몸살을 앓고 있답니다.◀ 가나 아크라에 사는 아이들은 쓰레기 더미에서 고철을 주워서 돈을 번다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연구해왔다.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황금비’다.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와
중국
의 양귀비 등 역사에 미인으로 기록된 인물은 얼굴에 공통적인 비율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두 눈 사이의 중앙에서 코끝까지의 길이와, 코끝에서 입술까지 길이의 비가 약 1.618대 1, 즉 황금비를 이룬다.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BlueGene)’은 수년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로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최근
중국
이 슈퍼컴퓨터 연구에 뛰어들며 순위에서 밀려나 현재 5위를 기록하고 있다(2017년 6월 기준). 매출을 60% 이상 차지하던 전통적인 하드웨어 분야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IBM은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 나설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증명됐다. 보단 팩진스키 미국 프린스턴천문대 교수와 그의 제자 리신 리 박사(현재
중국
베이징대 카블리 천문학및천체물리학 연구소 교수)는 1998년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하면 짧은 주기를 갖는 초신성인 ‘킬로노바(Kilonova)’가 발생할 거라는 이론을 제안했다. 이 광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도호쿠대 지구물리학과 교수도 백두산이 자극받았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자오 교수는
중국
출신으로 베이징대를 졸업한 뒤 줄곧 일본에서 연구해 온 일본의 대표적인 화산학자 중 한 명이다. 특히 그는 논문 당 피인용 횟수 기준으로 세계 8위에 오른 화산 학자다(2000~2010년). 2004년에는 10여 년 동안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띄운다?첨단 기술이 발전한 요즘 시대에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 실제로 올해
중국
에서 대입시험 ‘가오카오(高考)’를 치를 때 전자파를 탐지하는 드론을 띄웠습니다. 드론을 투입하는 이유는 컨닝용 웨어러블 기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스마트워치, 귀 속에 넣을 수 있는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향 덕분에 수백 년 전부터 사랑받아왔던 ‘머스크(사향)’에 들어 있다. 천연 머스크는
중국
서부와 티베트, 히말라야 산맥에서만 서식하는 사향노루의 ‘은밀한 부위’에서만 나온다. 태어난 지 10년 쯤 된 사향노루 수컷은 교미기가 다가오면 특유의 향을 분비해 짝짓기를 할 암컷을 유인한다.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비극을 예고하는 별이었다. 알골이라는 이름 자체가 아랍어로 악마라는 뜻이다. 고대
중국
인들은 알골을 ‘적시성(積屍星)’이라고도 불렀다. 알골이 나타나면 큰 재난이 벌어져 시체가 쌓이게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내가 쓴 보고서는 진상을 아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었다. 그들은 내게 정보를 ... ...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이목이 쏠리고 있다. 백두산 연구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꼽히는 류자치(劉嘉麒)
중국
과학원 원사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국제학술회의에서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번 핵실험의 여파로 백두산 인근에서는 자연지진이 세 차례 발생했다(10월 18일 기준). 백두산 지하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처음 공개됐다. 인간 배아에서 유전자 가위 기술을 최초로 성공시킨 사례는 올해 3월
중국
연구진이다. 여기에는 인간 배아 6개가 사용됐다. 김 단장과 미탈리포프 교수 공동연구팀은 인간 배아를 54개로 대폭 늘렸다. 때문에 논문이 공개되자 학계의 관심이 쏠렸다. 그런데 8월 28일 생명과학 분야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