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증명됐다. 보단 팩진스키 미국 프린스턴천문대 교수와 그의 제자 리신 리 박사(현재 중국 베이징대 카블리 천문학및천체물리학 연구소 교수)는 1998년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하면 짧은 주기를 갖는 초신성인 ‘킬로노바(Kilonova)’가 발생할 거라는 이론을 제안했다. 이 광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처음 공개됐다. 인간 배아에서 유전자 가위 기술을 최초로 성공시킨 사례는 올해 3월 중국 연구진이다. 여기에는 인간 배아 6개가 사용됐다. 김 단장과 미탈리포프 교수 공동연구팀은 인간 배아를 54개로 대폭 늘렸다. 때문에 논문이 공개되자 학계의 관심이 쏠렸다. 그런데 8월 28일 생명과학 분야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KN-14와 같은 반구 형태다. 러시아의 다탄두 미사일인 ‘RS-24 야르스(46쪽 사진)’와 중국이 한창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둥펑-41’의 재진입체가 그렇다. 이 연구위원은 “반구 안에 원뿔형 모양의 탄두를 여러 개 넣어, 재진입 시 반구 형태의 겉껍질은 날아가게끔 설계한 것으로 보인다”며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연구 결과가 있다. 한 예로 밍구앙 헤 호주시력센터 교수팀은 2010년 10월부터 3년 동안 중국 광저우에 있는 초등학교 12곳에서 1학년 어린이 1900여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6개 학교에서는 하루 40분씩 야외수업을 했고, 나머지 6개 학교에서는 기존에 하던 대로 실내수업을 했다. 3년 ...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노력들이 모이면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거예요.현재 미국과 프랑스, 영국, 중국 등 세계 여러 나라들은 미세 플라스틱 사용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어요. 최근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나섰어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7월부터 화장품을 만들 때 미세 ... ...
- [헷갈린 과학] 꼬리로 구분해요! 불도그 VS 퍼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온순한 성격이에요. 용감하고 주인에게 충실해서 집을 매우 잘 지킨답니다. 퍼그는 중국 출신의 견종이에요. 코가 눌려 있고 얼굴에 주름이 많아 외모가 불도그와 비슷하지요. 그러나 몸높이가 25~28cm이고 몸무게는 6~8.5kg인 소형견으로, 불도그에 비해 몸집이 훨씬 작아요. 또 볼 살이 덜 처져 있으며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느끼지 못해서’라는 이유였다. 일본어로는 ‘우마미(うま味)’ 중국어로는 ‘선미(鮮味)’라고 불릴 만큼 아시아에서 감칠맛은 친숙하다. 하지만 달고 짜고 자극적인 맛에 익숙한 서양인들은 감칠맛이 낯설다. 지금도 감칠맛을 표현하기 위해 특정 회사에서 만든 스테이크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함께 일해야 한다는 점도 깨닫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국인이나 미국인, 중국인 또는 러시아인이 별도로 일해서는 인류가 직면한 전지구적 문제가 풀리지 않을 겁니다. 빅 히스토리를 공부한 젊은 세대가 이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할 거라고 믿습니다 ... ...
- [에디터 노트] Back to the Science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물론 한가위 달이 뜬다. 세계는 다시 달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미국은 물론, 일본도 중국도, 인도도 달로 향한다. ‘백 투 더 문(Back to the Moon)’. 달은 45억 년 동안 있어왔지만 우리가 아직 잘 모른다는 점에서 여전히 먼 미래다. 과학은 과거를 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보는 학문이다. 한가위 달을 ... ...
- Intro. 아시아발(發) 달 탐사 레이스 시작, 달에 누가 먼저 가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달 탐사 계획을 밝히면서 달 탐사 경쟁에 다시 불을 지피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올해 11월 중국이 스타트를 끊는다. 민간도 가세했다. 올해 말 안에 가장 먼저 달에 올라가는 팀은 막대한 상금을 거머쥔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시아발(發) 달 탐사 레이스 시작, 달에 누가 먼저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