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수학적으로 베이글과 머그잔은 똑같다
수학동아
l
2019.09.14
선으로
둘
러싸인 2차원의 대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즉 구멍의 수는 ‘폐곡선으로
둘
러싸인 공간의 수’로 볼 수 있습니다. 구간에는 이런 공간이 있을 수 없으므로 원과 같은 닫혀있는 곡선으로 이뤄진 공간의 수가 구간의 모습과 상관없이 구멍의 수를 결정하는 겁니다. 구간이 빨대처럼 쭉 ... ...
한국인 과학자, 우주의 팽창 속도 구하는 새 방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3
방식을 활용한 허블상수는 70~72 사이로 비슷하게 측정됐다. 하지만 기술이 정교해질수록
둘
사이의 차이가 나고 있다. 지난해 우주배경복사를 관찰하는 플랑크 위성이 관측한 데이터를 토대로 계산된 허블상수 값은 67.66이다. 반면 세페이드 변광성 관측 결과를 토대로 올해 5월 아담 리스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고아인 은희는 요양원에 들어와서도 술을 끊지 못하는 영수를 보살펴준다. 결국
둘
은 눈이 맞아 살림을 차리고 영수는 금주와 금연을 실천하며 건강을 회복한다. 그러던 어느 날 옛 애인(공효진)과 친구가 방문한 뒤 영수는 다시 ‘바람’이 든다. 며칠 뒤 동네 사람이 일을 도와준 영수에게 ... ...
[이정아의 미래병원]3D재건외과·BCI재활의학과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지도가 완성되고 암이나 당뇨병, 알츠하이머 치매 등 질환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하나
둘
씩 밝혀지면서 개인 맞춤형 의학 시대가 기대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환자들이 일반 건강검진을 하거나 가족병력을 묻는 대신, 유전체를 정밀하게 분석해 앞으로 특정 병이 발생할 위험도를 측정하는 과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숫자 영(0)의 발견은 수학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이다. 이슬람의 수학은 이
둘
을 융합한 수학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수학자로 8~9세기의 알 콰리즈미가 있다. 알 콰리즈미는 십진법의 아라비아 숫자체계를 정립하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이는 지금 우리가 쓰는 숫자체계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아미노산은 알라닌이다). 그 결과 변이 생쥐 역시 잠자는 시간이 한 시간 정도 짧아졌다.
둘
의 관계가 우연의 일치는 아니라는 말이다. 그렇다면 수면과 관련된 β1-아드레날린수용체의 역할은 무엇일까. 아드레날린수용체는 카테콜아민 계열(아드레날린도 그 가운데 하나다)의 신경전달물질을 ... ...
[프리미엄 리포트] 고추 vs. 마라…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09.01
때 나타난다. TrkC 수용체는 신경계의 시냅스 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수초로
둘
러싸인 두꺼운 감각뉴런의 말단에 존재한다. 산쇼올이 TrkC와 결합하면 감각뉴런에 있는 이공성 칼륨 채널(two-pore potassium channels)의 활성이 억제된다. 칼륨 채널은 칼륨 이온이 드나드는 통로로, 신경 세포의 칼륨 ... ...
[과학촌평] 원안위의 중대 발표 ‘금요일의 법칙’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얘기도 있다. 만일 그런 상황이라면 원자력과 방사선 안전을 업무의 최상위 우선순위로
둘
수 있는 전문가를 원안위 비상임위원으로 뽑아야 하지 않을까. 언제까지 상황과 구조적 문제 탓으로만 돌릴지 두고 볼 일이다. ... ...
킹코브라와 비단뱀이 싸우면 누가 이길까
팝뉴스
l
2019.08.29
이런 질문과 함께 역시 화제로 떠오른 것이 위의 사진이다. 뱀 두 마리가 뒤엉켜 있는데
둘
다 죽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화제가 되었지만 사진은 원래 작년에 촬영된 것이다. 킹 코브라가 비단뱀을 사냥하려고 했지만 결국은 몸이 졸려 죽고 말았다. 비단뱀도 역시 죽었다. 결국 대결은 무승부로 ... ...
'부산 고리1호기 해체, 울산에서 의견 듣는다?' 이상한 원안법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4
지자체가 법적으로 부산이 아닌 울산 울주군이었기 때문이다. 이유는 원자력 시설이
둘
이상 지자체에 걸칠 때 면적이 가장 많이 포함되는 지역이 의견 수렴을 주관하도록 한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때문이었다. 부산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은 원전 반경 21㎞이고 울산은 30㎞라 울산이 속한 면적이 더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