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랑이 식었다는 증거
팝뉴스
l
2019.06.22
샌드위치를 나눠먹으려 한다. 그런데 다퉜다. 자기가 조금더 많이 먹기를 바랐던 것이다.
둘
은 정확히 반으로 나누기로 합의를 본 후에 줄자를 이용하기에 이른다. 사랑이 뜨거울 때는 이렇지 않다. 상대가 먹는 것만 봐도 행복하고 배가 부르다. 사랑이 식으면 예민해진다. 내가 적게 먹는 게 싫다. ... ...
지하철의 연인
팝뉴스
l
2019.06.21
직성일 풀릴만큼 서로를 사랑하는 것 같다. 누가 보거나 말거나 대중교통이거나 말거나
둘
은 뜨겁게 포옹을 하고 있다. 그런데 남자가 좀 이상하다. 그는 포옹에는 관심이 없다. 스마트폰으로 누군가와 문자를 주고 받는 것 같았다고 사진 공개자를 말한다. 사진은 21세기 현대인들의 정신 세계를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흐름 배터리(RFB)를 활용했다. 배터리에 음극액과 양극액을 막으로 분리한 채 담으면
둘
사이에 전기의 흐름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하는 전지다. 이를 두고 ‘흐름 배터리’로 부르는 이유는 음극액과 양극액을 펌프로 계속 순환시켜 전해액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펌프 역시 흐름 배터리에서 나오는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무성아는 땅에 떨어지면 씨앗처럼 새 개체로 자라는 기관이다.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둘
다 하는 것이다. 잎도 두 종류다. 씨범꼬리는 이 모든 꽃과 줄기를 몇 년이고 땅 속에 숨기고 기다리다 결국 꽃을 피우고 씨를 퍼뜨린다. 이 책임연구원은 “인고를 상징하는 식물이라 특히 좋아한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두고 학명을 짓는다면 아몬드의 학명(Prunus dulcis)이 오히려 안성마춤일 것이다. 필자가
둘
의 학명이 바뀌었으면 좋았을 거라고 말한 이유다. 물론 학명은 일단 정해지면 바꿀 수 없다. 맛과 건강 모두 충족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아몬드 제조업체의 농장. J D Almond Farms Inc 제공 아무튼 bHLH2 ... ...
폭발 위험 없고 강력한 전고체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수 있다는 점이다. 평소에는 ‘분리막’이라는 구조를 통해 양극과 음극을 나눠 이
둘
이 서로 닿는 일이 없는데, 배터리가 과열되거나 물리적인 충격을 받아 분리막이 훼손되면 두 극의 물질이 만나 폭발할 수 있다. 전고체전지는 전해질을 딱딱한 고체로 만들어 애초에 이런 가능성을 없앤 전지다. ... ...
[주말N수학] CIA요원마저 사로잡은 대테러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19.06.15
B, D는 A→B→D라는 순서가 있는 셈입니다. 그럼 B와 C는 어느 쪽이 순서가 앞일까요? 이
둘
은 서로 별개 방향의 꼭지이므로 순서를 비교할 수 없습니다. 이처럼 순서가 있는 원소들과 순서가 없는 원소들이 섞여 있는 집합이 부분 순서 집합입니다. 테러 조직 역시 수장과 부하 조직원으로 이뤄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상관관계가 1이고 제멋대로일 때는 상관관계가 0이다. 키와 몸무게를 비롯해 많은 경우
둘
의 상관관계 값이 0과 1 사이의 어디쯤이다. 상관관계가 1에 가까울수록 측정하기 쉬운 하나를 알면 측정하기 어려운 다른 하나의 특성을 더 큰 확신을 갖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하기 쉬운 손가락 ... ...
베이조스 "10년내 사람처럼 물건 움켜쥐는 로봇 나올 것"
연합뉴스
l
2019.06.08
생각하지만 미래 세대에는 인류가 중공업을 지구 밖으로 옮기고 지구는 주거지로 남겨
둘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달에도 아마존의 풀필먼트 센터(물류 기지)가 생길 거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는 풍자적으로 "그 문제를 숙고해본 적이 없다"면서도 "액화수소와 액화산소를 배송하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페인터가 사용한 세포고정기법으로는 가장 커다란 1번염색체가 동원체를 중심으로
둘
로 찢겨 나가는걸 방지하기 어려웠다. 이런 일이 일어날 때가 대부분이었고, 가끔은 1번염색체가 쪼개지지 않은 상태로 남았기 때문에 숫자가 46과 48 사이에서 오락가락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치오와 레반의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