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91건 검색되었습니다.
RNA연구 핵심장비 '극저온현미경' 중국 대학 한곳에 6대…한국은 내년에 두 번째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유전자 침묵’ 등의 과정에 관여해 초기 발달 단계를 조절한다”며 “이 과정은 요즘
줄기
세포 등 재생의학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세포 역분화(리프로그래밍)와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안토니오 기랄데즈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 -사진 제공 IBS 최근 RNA를 주제로 한 대형 생명과학 국제 ... ...
메타물질로 빛 주파수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빛의 세기를 아주 강하게 해 두
줄기
의 빛을 중첩시키는 방법으로 주파수를 조절했다. 빛은 서로 영향을 일으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지만, 빛이 가진 에너지가 커지면 그 에너지는 다른 빛에 영향을 미친다. 이 방법은 강력한 빛을 만들기 ... ...
[여기에 과학] 30대 여성 난소에서 물혹이 많이 생기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국제학술지 ‘병리학저널’에 밝혔습니다. 생식 세포로 완전하게 분화가 끝나지 않은
줄기
세포가 난소나 췌장으로 이동해 자리하고 있다가 약 30년~40년 뒤 종양으로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제네바대 병원과 하버드대 브링엄여성병원이 보유한 물혹 환자 총 287명의 유전자 자료를 ... ...
몸은 죽고 뇌만 살아있다면… 온전한 인간으로 봐야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의장을 맡은 정성진 한국뇌연구원 뇌연구정책센터장은 “대표적인 예로 인간의 배아
줄기
세포를 연구할 때 14일이 경과하면 실험에 쓰지 못하도록 하는 건 그때부터 뇌신경 분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라며 “과학적인 연구결과가 많아질수록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타당한 윤리기준을 만들기도 ... ...
[표지로 읽는 과학]초파리 뇌 발달 과정을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초록색 항체와 반응하는 인자를 만드는 세포로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사이언스는 “
줄기
세포에서 신경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은 복잡하다”며 “주변의 세포와 상호작용 을 통해 생성하는 전사인자가 매 순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배치과정은 말 그대로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 것”이라고 ... ...
“미세먼지 건강영향, 노인성 근감소증...‘생명현상’ 연구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장기프로그램으로는 일명 ‘장기칩’을 연구하고 있다.
줄기
세포를 간세포 등으로 분화시켜 조직을 만드는 기술이다. 인체 장기를 모사한 인공장기시스템으로, 이렇게 만든 이공장기를 모아 하나의 약이 여러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실험할 수 있다. ... ...
동성 쥐 사이에서 건강한 새끼 태어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비슷한 방법으로 수컷에서도 단성생식에 성공했다. 김장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
세포연구센터장은 “이 방법을 이용하면 새로운 유전적 특징(형질)을 지닌 실험동물을 교배 없이 빠르게 만들 수 있어 생명공학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황우석 명예훼손’ 고소당했던 류영준 강원대 교수 1심 무죄 판결
동아사이언스
l
2018.10.10
등 연줄(커넥션)이 있고, 이를 이용해 (생명과학 관련) 규제 완화와 차 병원에 대한
줄기
세포 연구 승인을 요청하는 등 영향을 끼쳤다"는 내용의 말을 했다. 황 전 교수는 이에 대해 “청와대 수석실을 통해서 정부 회의에 참석한 사실이 없고 차병원의 연구 승인을 요청한 사실도 없다”며 “비방할 ... ...
황우석 전 교수의 ‘제보자’ 류영준 강원대 교수 대상 소송 내일 판결...‘공익목적’ vs ‘허위사실’ 관심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만큼 긴 법정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류 교수는 2005년 황우석 사태 당시
줄기
세포 논문의 제2저자로 참여했다 연구부정을 깨닫고 제보를 했다. 이후 다니던 병원을 그만두고 의사 출신 연구 윤리 전문가로 거듭나 2013년부터 강원대에 재직하고 있다. 한국생명윤리학회 이사, 대통령 ... ...
노벨상 족집게 프리노벨상 아시아에도 있다…국내에선 호암상 인정받아
과학동아
l
2018.10.02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도 2012년에 교토상 기초과학 부문을 수상했다. 유도만능
줄기
세포(IPS) 연구로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는 2010년 교토상 첨단기술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그보다 앞서 2002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쿠르트 뷔트리히 스위스 취리히공대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