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짬짜면 과학 교실] 운명대로 사는 식물의 일생
2018.02.24
있습니다. 하필 경사면에 씨앗이 떨어져 어쩔 수 없이 비스듬히 자라는 나무의 뿌리는 제
줄기
와 가지를 지탱하느라고 얼마나 힘들까요. 그러니 식물은 스스로의 힘으로는 자리를 옮길 수 없어서 운명적인 환경에 묶일 수밖에 없겠습니다.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
저개발국 쌀 문제 해결하는 '착한' 비료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24
단백질(NRT)이 있다. 연구팀은 먼저 흔히 쓰이는 1년생 벼(Oryza sativa) 품종의 NRT 중
줄기
까지 운반하는 질소운반체(OsNRT1.1A)의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했을 때, 식물이 질소 분자나 암모니아를 덜 흡수할 뿐아니라 생산성이 80% 낮아지고 꽃을 늦게 피우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OsNRT1.1A가 벼가 ... ...
[아는만큼 보인다] 겨울올림픽 가장 비싼 몸 ‘봅슬레이’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2.18
주행시간이 늘어난다. 반대로 낮은 벽을 타고 커브를 돌면 이동거리는 짧지만 원심력이
줄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최적의 코스를 찾아내 공략하는 것이 선수들의 과제인 셈이다. 겨울올림픽에서 한국은 쇼트트랙을 중심으로 한 빙상종목에서 유독 강세를 보여왔다. 최근엔 설상종목 ... ...
최초의 ‘걸음’ 주인공은 홍어의 조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다른 물고기와 다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어류는 뇌와 척수로 이뤄진 중추신경계가 한
줄기
선 형태를 이루는데 홍어는 뒷지느러미 부위에서 마치 가지처럼 운동신경이 확장돼 있다. 사람 등의 운동신경과 비슷한 구조다. 연구팀은 홍어의 운동신경세포에서 RNA를 해독해 이 운동신경과 관련이 있는 ... ...
피부
줄기
세포로 근육 만들어
과학동아
l
2018.02.08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도만능
줄기
세포라고 부른다. 유도만능
줄기
세포에서 분화 시킨 근육 섬유의 단면도. - duke university 연구팀은 사람의 피부세포를 iPS세포로 만든 뒤 ‘팍스7(Pax7)’이라는 단백질을 주입해 근육 세포로 분화시켰다. 또 3차원 배양 방식을 도입해 세포를 ... ...
“암세포 되기 전 퇴치” 종양
줄기
세포 찾아 없애는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2.07
투여한 결과, 종양
줄기
세포가 죽으며 암 발생이 억제됐다. 장 부연구단장은 “종양
줄기
세포 내 발현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최초의 형광물질”이라며 “향후 암 치료 약물 개발 가능성을 열어주는 성과”라고 말했다 ... ...
지카 바이러스 소두증, 유전자 이상이 원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신경세포로 분화시켰다. 4일이 지나자 지카신드롬을 앓았던 아이에서 유래한 유도만능
줄기
세포가 죽는 것을 확인했다.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알기 위해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일란성 쌍둥이에서 지카바이러스 감염 여부와 상관없이 DNA 유전자는 차이가 없던 것과 달리 RNA ... ...
치매로 이어지는 헌팅턴병 초기 발생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9
세포 하나에는 하나의 핵이 들어가야 한다. 그런데 연구팀은 HTT 돌연변이 유전자를 가진
줄기
세포의 경우, 핵을 여러 개 가진 세포로 분열돼 거대세포로 성장하는 것을 확인했다. HTT 돌연변이 유전자가 발현돼 최대 12개의 핵을 가진 다중핵 신경세포가 만들어진 것이 관찰됐으며, 연구팀은 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전이 일어나는 첫 단추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8
밝혀졌다. 암 전이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찾아내거나(https://goo.gl/ZGY6im) 핵심 역할하는
줄기
세포를 찾아냈다(https://goo.gl/ZQem9L). 이번 주 네이처 표지 논문은 암세포 전이가 일어나는 또 다른 원인을 찾아냈다. 표지에서 파란색 구체는 세포를 나타낸다. 일러스트레이터 웬징 우는 연구 내용을 듣고 ... ...
중국, 세계 첫 영장류 복제 성공…신약 개발·뇌 연구 앞당길 듯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아니라 재생의학에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원숭이 복제 성공으로 인공장기나
줄기
세포 연구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원숭이 복제가 어려웠던 이유는 인공 수정란의 세포 환경이 자연 수정란과 많이 달랐기 때문이다. 복제 원숭이 배아가 배반포(착상 단계의 배아)까지 발달할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