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토대
기반
근본
근거
밑바탕
베이직
스페셜
"
기본
"(으)로 총 1,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명성을 얻었다. 11세기 초반에 쓴 《광학의 서》에는 빛의 직진과 굴절 등 현대광학의
기본
적인 내용이 잘 정리돼 있다. 또한 우리가 사물을 어떻게 보고 인식하는지를 올바르게 기술하였다. 그때까지는 눈에서 광선 같은 것이 나와 사물을 인식한다는 에우클레이데스나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론이 ... ...
'수명 연장' 운동 효과, 건강한 사람보다 심뇌혈관질환자에게 더욱 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하는 산소의 양인 '신진대사 해당치'를 이용해 신체활동량(MET · 분)을 측정했다. 가장
기본
이 되는 1MET는 체중 1kg이 1분 동안 사용하는 산소의 양(3.5mL)이다. 여기에 시간(분)을 곱하면 신체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보통 평지를 빠르게 걷는 운동은 3.3MET · 분 정도다. 전문가들은 최소 일주일에 500MET ... ...
AI 대학원 어디 갈까…"KAIST AI 과목수,성균관대 교수 최다…고려대 산학협력 강점"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현재 KAIST 외에 성균관대와 고려대가 설립됐다. 개강을 한 주 앞둔 상황에서 가장
기본
적인 전임교수 및 개설 교과목 수를 중심으로 세 대학원의 준비 현황을 살폈다. KAIST는 개설 과목 수가 가장 많았고 성균관대는 첫 해 확보된 전임교수 수에서 강점이 있었다. 고려대는 AI 기업과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의 부속기관이었다. 무세이온은 말 그대로 뮤즈(Muse), 즉 음악의 여신을 위한 기관이지만
기본
적으로 그 이전의 플라톤의 아카데미아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이온과 비슷한 교육 및 연구기관이었다. 여러분의 예상대로 박물관을 뜻하는 museum의 어원이기도 하다. 무세이온은 건립 이후 무려 700여 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잘 맞아서 지금 들어봐도 아주 그럴 듯하다. 플라톤의 제자답게 아리스토텔레스도
기본
적으로 이분법적인 세계관을 유지했다. 옛날 사람들이 천상과 지상을 구분해서 생각했던 건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르겠다. 아리스토텔레스도 달을 기준으로 천상계와 지상계를 엄격하게 구분했다. 천상계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
2019.08.03
해로운 행동을 한 사람에게는 22%만 공을 집어 줬다(Vaish et al., 2010). 세 살 정도가 되면
기본
적인 도덕판단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딱히 도덕판단과 상관없이 물건을 부수는 등의 행동이 무서워서 피한 것일수도 있지 않을까? 연구자들은 이번엔 아이들에게 실제 파괴적인 행동 없이, 주인공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맬서스의 학위공장, 그리고 과학기술인협회
2019.08.01
된 사람들도 있다. 그들은 교수가 된 이후에 학위를 마치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 학위는
기본
이고 박사후연구원 즉 포스트닥이라는 과정을 거친 후에야 겨우 8% 남짓한 사람들만이 대학에서 교수가 될 수 있다. 심지어 이 8%도 종신직을 보장받고 교수가 되는게 아니다14. 아마 이들 중 절반 정도만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있다. 방법 A와 방법 B의 중간값으로 나온 것이다. 어떻게 허블상수처럼 천문학의
기본
이 되는 값이 측정 방법에 따라 최대 10%에 이르는 차이를 보일 수 있을까. 관련 연구자들도 당황하고 있는 허블상수의 딜레마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 1929년 발표한 논문에서 허블은 천체의 거리(밝기로 ... ...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구조에서 서로 인접한다. 딥마인드는 이 아미노산 쌍을 찾아내는 작업을 AI를 구현하는
기본
메커니즘인 신경망(Neural Network)에 학습시킨다. 그런 뒤 쌍으로 인접한 아미노산 사이의 거리를 예측한다. 딥마인드는 또 단백질이 3차원 구조로 접혀 생성되는 메커니즘을 예측할 수 있도록 신경망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분통(?)이 터질 지경이다. 지금 우리는 현대적인 원자론에 입각해서 100개가 넘는
기본
원소들의 규칙성을 주기율표로 정리하고 있다. 실험실에서 자연에 없는 원소들도 인공적으로 종종 만들어내기도 하니까 만물의 아르케가 서로 바뀔 수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금술이 전혀 틀린 말이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