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시권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d라이브러리
"
맨
"(으)로 총 1,246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매년 한차례씩 열리는 이 프로그램의 정식 명칭은 ‘리얼
맨
, 리얼 디프레션’. 우리말로 ‘남자는 진짜 우울하다’ 쯤으로 해석하면 될까.최근 미국 성인의 우울증은 단순한 개인의 정신 건강 문제에서 벗어나 심각한 사회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다. 후세이니 만지 박사의 ... ...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것이다.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이 높고 험하지만, 에베레스트도 정복한 인간이 아닌가. 슈퍼
맨
이 몇년만 더 버텨줬더라면 다시 날 수 있게 됐을지도 모른다. 이제 14살인 하워드군이 휠체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날이 빨리 오도록, 전세계의 신경과학자들은 지금도 땀 흘려 연구하고 있다 ... ...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본격적으로 비판받기 시작했다. 이 모형은 단기간에 가용적이고 감지되는 것들로부터
맨
처음 만족스런 해결책을 만나면 그것으로 선택이 종료되는 식으로 인간이 사고한다는 이론이다. 예컨대 결혼 적령기의 미혼남 중 이상형을 무작정 찾아나서는 미련한 사람은 별로 없다. 대개 주변에서 가장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정리하고 지난 1년간 연구 끝에 새 산맥지도를 내놓게 됐다.이 연구를 시작하면서
맨
먼저 산맥에 대한 정의를 훑어보았다. 이제껏 학계에서는 땅위의 지형지물과 상관없이 땅 속 지질의 연속성, 즉 지질적으로 연속된 지형이 이어진 부분을 산맥으로 정의해 왔다. 과연 그럴까? 각종 해외 문헌을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보다 짧게 보인다. 만약 빛의 속도로 모든 물체가 달린다면 긴 물체도 길이는 없어지고
맨
앞과 뒤가 붙은 평면으로 보인다.상대성이론의 영향은 파블로 피카소 등 입체파 화가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난다. 피카소는 1907년 여름 프랑스 파리에서 ‘아비뇽의 여인들’을 완성했다. 아인슈타인이 ... ...
썰렁 홈즈 마술사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숫자를 다시 2로 나눕니다. 얼마인지 잘 계산하고 있지요? 이제 계산해서 나온 숫자에서
맨
처음 마음속으로 생각했던 숫자를 뺍니다. 계산 결과가 얼마인가요? 3이라고요? 다른 사람은요? 그럼 모든 사람의답이3인가요? 하지만 처음 생각한 숫자는 각각 다를 거예요. 어때요? 신기하지요? 네 번째 ... ...
목성과 3개 위성을 한눈에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파란 점인 가니메데의 그림자이고 왼쪽에서 두 번째 검은 점은 가운데 이오의 그림자다.
맨
오른쪽의 검은 점은 칼리스토의 그림자인데 칼리스토 자신은 목성의 오른쪽에 놓여있어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는다.목성의 위성 가운데 가장 큰 가니메데는 행성인 수성보다도 더 크다. 가니메데와 그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얼마전 막 내린 아테네올림픽 역도 종목에서 아깝게 은메달에 머물고도 시종일관 환한 미소를 보였던 이배영 선수를 기억하는가. 팬들은 그에 ... 역시 표면과학을 연구할 겁니다”라는 문 박사. 그에게 한국 과학계가 낳은 ‘표준
맨
’이라는 또다른 별칭을 선물해도 손색이 없지 않을까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이쯤되면 의문이 생긴다. 세계 각국은 왜 이처럼 수소에 목을
맨
것일까.차세대 에너지로 각광받는 수소원소번호 1번, 원자량 1.0079에 불과한 수소는 말 그대로 가볍고 잘 타는 기체다. 산소와 결합하면 쉽게 불이 붙고 때론 강한 폭발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수소가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다들 달려가 보니 들어올린 돌 아래 고둥 수백마리가 몰려있다. 자세히 보니 고둥을 들쳐
맨
집게무리다.“집게는 게처럼 구멍을 파지 못합니다. 결국 한여름의 따가운 햇볕을 피하고 습기를 보존하기 위해 이처럼 돌밑이나 바위틈으로 피신해 밀물이 들어올 때까지 기다립니다.”윤 교수의 설명에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