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사
끼니
먹이
meal
식음
쌀
벼
d라이브러리
"
밥
"(으)로 총 81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염된 강물, 되살릴 길은 없나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이런 문제를 해결할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밥
법은 국민들이 환경보전 시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결여된 국민들의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환경교육을 꾸준히 계획하고 실시해 나가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국민들이 ... ...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발달하였다. 붉은인가목 눈향나무 구상나무 땃두릅나무 흰참꽃나무 주목 철쭉 까치
밥
나무 좀고채목 만병초 등의 목본류와, 곰취 터리풀지리터리풀 박새 범의꼬리 동자꽃 앉은좁쌀풀 서덜취 바위구절초 솔체꽃 네귀쓴풀 큰산꼬리풀 산오이풀 어리병풍 등의 초본성 고산식물이 있으며 세석평전과 ... ...
식용·약용으로 쓰이는 자원식물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대나무의 일종으로 주로 중부지방에 많다. 순을 쪄서 먹고, 과실은 곡류와 같이 도정하여
밥
으로 지어먹는다. 성분은 밀과 비슷하다.꿩의 다리는 전국 각지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4월하순경에 새로 나오는 어린 눈을 가볍게 삶아 국거리로 하여 먹는다.꽃황색냉이는 주로 중부 이남에 ... ...
적은영양가에 많은 농약 온실재배채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취하지 않으면 살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먹는다'는 일은 '생명유지'의 필수 조건이며
밥
뿐 아니고 채소도 필수적으로 먹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영양가는 매우 중요하다.또한 사람의 장점은 잡식성에 있다. 즉 동물성, 식물성, 광물성등 광범위한 식품을 골고루 먹는데서 건강한 육체가 지탱 ... ...
날로 늘어나는 비만증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즉 포식 뒤에도 만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또 걱정이 있거나 불안하거나 하면
밥
이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는것이 보통인데 비만자는 거꾸로 먹는 양이 늘때도 있다. 또 재미있는것은 항상 저녁식사를 6시에 한다면 시계 바늘을 1시간 빨리 해놓아도 6시를 가리키면 비만자는 별로 배가 고프지 ... ...
피로회복제의 허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간장에서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물질인 글루쿠론산으로 바뀌기도 한다. 이 물질은
밥
만 먹으면 간장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것으로써 소량을 밖에서 섭취해봐야 아무런 효과도 없는 것이다.간장내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글루쿠론산은 유해물질과 결합하는 활성기가 붙어있어 그 활성기에 ... ...
수팽윤성 고분자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낮아져 흡수능은 감소된다. 이와같은 흡수·팽윤원리는 우리가 주식으로 이용하는
밥
이나 풀을 생각하면 훨씬 더 이해하기 쉽다. 쌀은 주성분이 전분으로서 물과 함께 끓이면 물이 전분의 친수성기인 수산기들 사이로 침투하여 분자간 수소결합을 이루어 1백% 이상으로 흡수·팽윤·겔화된다. 보통 ... ...
현미-알고 먹자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영양이 풍부한 현미쥬스가 된다. 이것은 날 것으로 먹어도 소화가 잘 된다.무턱대고 현미
밥
만 먹으면 만사형통이라는 안이한 생각은 이제 버려야 할 때가 온 듯 싶다 ... ...
이전
78
79
80
81
8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