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색"(으)로 총 2,75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색소가 적다. 또 백색증을 앓고 있는 사람은 홍채가 빨간색으로 보이는데, 멜라닌세포에 색소가 없어 망막이나 혈관이 그대로 비쳐 보인다.근육의 독특한 주름 무늬게다가 홍채는 고유한 주름무늬를 가지고 있다(54쪽 그림). 홍채의 표면을 보면 동공과 홍채가 만나는 경계(소홍채륜)에 주름이 진다.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실버, 블랙, 블루 등 다양한 색의 진주가 있다”며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색은 에코그린이지만 우리나라와 일본 등 아시아권에서는 유난히 흑진주가 인기가 많아 가장 경제성이 높다”고 말했다. 흑진주 양식 기술은 교재도 없고, 관련 논문에도 자세히 서술돼 있지 않아 기술자의 존재가 ... ...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눈은 반사된 빛을 이용해 색을 구별하기 때문에, 공작새의 깃털이 우리 눈에 여러 가지 색으로 빛나 보이는 거예요.일리 : 암컷에게 잘 보이기 위한 비결이 있니?공작 :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대학교 로슬린 데이킨 박사팀은 수컷 공작 14마리의 꼬리털을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해 관찰했어요. 그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해충을 막기 위해서다. 영국 임페리얼대 짐 하디 교수팀은 진딧물이 붉은색 잎보다 노란색 잎에 6배나 많이 몰려드는 것을 확인했다(doi :10.1098/rspb.2008.0858).관측 정확성도 높여야관측 자료의 정확성이 낮다는 문제도 있다. 우리나라는 단풍의 시작일과 절정일을 두 가지 방법으로 관측한다. 전국 22개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능성이 대두됐다. 김정웅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간상세포의 발생과정에서 색상을 감지하는 시세포인 원추세포의 흔적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원추세포가 먼저 발생하고 그 중 일부가 간상세포로 진화해 어두운 곳에 적응하게 됐다는 가설의 증거를 찾아낸 것이다. 즉, 간상세포는 어둠에 ... ...
- [Tech & Fun] 아이를 잃은 엄마의 차가운 복수 '고백'의 '우유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줄었습니다.일반적인 우유의 pH는 6.5~6.7입니다. 더구나 영화에서 보여준 우유갑은 붉은 색이었습니다. 딸기 우유였을 가능성도 있죠. 딸기의 pH는 3.1이기 때문에 딸기 우유의 pH는 일반 우유보다 더 낮습니다. 유코의 복수가 성공할 확률도 그만큼 더 낮아졌을 겁니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발명왕 ‘ 머라도 다맹그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볼펜에서 나온 다양한 색이 화려한 그림으로 그려지고 있었다."저는 여러 가지 색 볼펜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던 중이었어요. 그런데 도둑이 지나가면서 볼펜들을 마구 섞어 버렸네요. 어쩌죠? 볼펜의 잉크와 볼펜이 잘못 연결되면 그림이 엉망이 될거라구요!” 다음 방으로 넘어가자, 이번엔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참꽃나무는 제주도 한라산에서만 자라는 진달래류예요. 아름다운 꽃 모양과 화려한 색상으로 제주도를 상징하는 꽃이지요. 제주어로는 ‘박달레낭’이라고 부른답니다.그 외의 진달래류는 주로 산에서 자라며 초여름에 꽃을 피워요. 중부 지역의 산지에서는 꼬리진달래를, 남부 지역 높은 산의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체로 색을 넣은 쪽에 향이있다고 평가한다. 입에 넣고 향을 평가하게 하면 반대로 색이 없는 쪽이 향이 강하다고 느낀다. 우리의 감각기관이 얼마나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지 말해주는 예다.냄새초콜릿 맛의 정체는 향!초콜릿 맛 성분이란 없다. 그런 맛을 느끼게 하는 향이 있을 뿐이다. 입 뒤에 ...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높았던 곳이다. 광물은 화학적 성분 구성이 같더라도, 지질 환경의 미묘한 차이로 색상이나 모양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에 큰 차이가 난다. 특히 비스비 공작석은 더 이상 산출되지 않기 때문에 어쩌다 수집 시장에 나타나는 경우 박물관과 수집가들이 대거 몰려든다. 이른바 ‘명품’인 셈이다.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