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위즈랩(www.wizlab.net)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드는 교육용 코딩 페이지예요. 이번에는 타워 디펜스 게임을 만들어 봐요. ‘타워 디펜스 게임’은 여러 방향에서 몰려오는 몬스터들에게서 성이나 건물을 방어하는 게임이에요. 다가오는 몬스터를 공격하다 위급한 ... ...
- [특집] 시간, 하늘을 넘어 기계로 알아본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조선은 새롭고 독창적인 시계를 개발하게 됐죠. 그 시계가 어떤 것인지 알아봅시다! 서울 성북구에 있는 고려대학교 박물관 2층에 들어서면 작은 장롱 같은 물건이 유리장 안에 전시돼 있습니다. 바로 1669년 조선의 천문학자 송이영이 만든 혼천시계(오른쪽 사진)입니다. 혼천시계는 조선의 전통적인 ... ...
- 기후변화 막는 작은 한 걸음, 탄소중립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열렸던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를 담은 서울선언문을 채택한 데 이어, 2050년을 목표로 한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올해 말까지 산업, 에너지, 수송 등 분야별로 계획을 발표한다고 해요. 2020년 발표한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 ...
- 플라스틱과의 공존을 꿈꾸는 젊은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행사장 단위로 플라스틱을 모아 새활용 제품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이어가다, 지난해부터 서울환경연합과 함께 ‘플라스틱 방앗간’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참여자들이 모아 보낸 작은 플라스틱을 녹여 새활용 제품으로 재탄생시킨 후, 보상으로 참여자에게 새활용 제품을 하나씩 보내주는 ... ...
-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일제강점기~구한말, 19세기, 18세기, 17세기 조사를 마치고 16세기층을 조사하고 있었다. 서울 청진동과 공평동 등 주변 발굴조사 사례를 보면 16세기 문화재의 보존상태가 가장 좋았다. 17~20세기에는 새로 건물을 지을 때 기존 건물의 기초를 파괴하거나 재활용해 짓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1 ... ...
- [특집] 약일까 독일까?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메타버스 측면에서의 윤리 가이드라인이나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죠. 이병호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메타버스는 또 하나의 사회이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단체가 각자 다른 방법으로 노력해야 한다”며 “국회는 관련 법을 제정하고, 교육계는 올바른 ... ...
- [매스크래프트] #20. 오싹! 귀신의 집보다 더 무서운 비둘기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머리카락 수를 기준으로 비둘기집을 만든다면 4만(12만-8만)개의 비둘기 집이 생깁니다. 서울에 사는 사람은 4만 명을 훌쩍 넘기 때문에 무조건 한 비둘기집에는 두 명 이상이 들어가겠죠. 결국 같은 머리카락 수를 가진 사람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귀신의 집을 만들고 제가 유독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20화. 축구와 수학의 귀환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안녕하세요,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축구를 좋아해서 2018년에 축구와 수학 사이의 재미난 이야기를 전해드린 적 있는데요. 지난 6월과 7월에 저 같은 축덕(축구 덕후) 수학자가 그냥 지나치기엔 너무 큰 이벤트가 많았습니다. 어떤 일이 있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월드컵 최종예선 조 편성, 12.5% ... ...
- 수소경제 실현, ‘생산·저장·운송’ 해결해야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잉여전력으로 수소를 만들면 상당히 싸게 수소를 만들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김민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도 전기차와 수소차가 공존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수는 “화석연료 규제를 바탕으로 전기차와 수소차 시장 모두 서서히 성장하고 있다”며 “전기차의 경우엔 크기가 작은 ... ...
- 팬데믹 시대, 정의로운 모빌리티를 위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것이다. ※필자소개김태희.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본 대학 철학과에서 석사, 서울대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교수로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모빌리티 사유의 전개’ 등을 집필했다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