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하강하고 곳곳에 분지 형태의 평탄면이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009년 박수진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남한강 본류 시작지점(분계선)에서 50km까지의 구간에서는 하상고도가 150m 정도 가파르게 하강한다. 해안에서 약 200km 떨어진 중상류 지점에서는 해수면과 하상고도의 ... ...
- 몸집 키워 돌아온 종이접기의 물리학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사서 고생’은 바퀴 제작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만든 바퀴를 들고 6월 10일 서울 관악구에 있는 조 교수의 연구실로 향했습니다. 직접 하중 실험을 해보지 않고는 못 견딜 것 같아서였습니다. 김재경 연구원이 실험에 함께했습니다. 인장 시험기 위에 물체를 올려놓고 장치를 가동하면 ... ...
- [특집] 얼음 어벤저스, 더위를 꽁꽁 얼려라! 프로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N202107N002+ 놀이북 4쪽과 함께보세요! 여름왕국을 시원하게 만들어 줄 얼음 어벤저스가 왔다! 얼음 캐기 전문가 크리수도프, 마법의 얼음공주 엔사, 얼음 왕국의 왕 안다, 마음 따뜻한 눈사람 올나프와 함께 시원한 얼음의 세계로 “인투 디 언노운~!” ▼ 이어지는 기 ... ...
- 네모가 여섯 개 모이면? 상자 모양 직육면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놀이북6쪽과 함께 보세요! 주변을 둘러보세요. 네모난 방 안에 있는 네모난 침대, 네모난 교과서, 네모난 교실.... 공통점은 바로 직사각형 6개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이에요. 이걸 ‘직육면체’라고 부르지요. 오늘은 직육면체의 특징을 알아볼까요? ...
- [인터뷰] “에너지 문제 해결해 고국 과학기술 발전 이끌겠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신기술연구소 에너지저장연구단 학생연구원. 5월 10일 서울 성북구 KIST에서 그를 만났다. 랸다 엥가르 아누그라 아르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학생연구원은 인도네시아국립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2016년 2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에 입학해 KIST ... ...
- [기획] 폐기물의 마지막 종착지, 매립지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해안간척지에 조성된 수도권매립지의 부지 전체 넓이는 16km2다. 동작구나 성동구 등 서울의 작은 구 하나를 가득 채울 수 있는 규모다. 이 가운데 폐기물을 매립할 수 있는 매립부지 면적은 9.3km2로 이곳에 매립할 수 있는 폐기물의 양은 2억 2800만 t이다. 제1매립장(2.51km2)과 제2매립장(2.62km2)은 매립이 ... ...
- 단순해 보여도 단순하지 않다? 수학 문제의 반전수학동아 l2021년 06호
- 폴리매스 요원 친구들! 반갑네, 나는 폴리매스 커뮤니티를 지키는 ‘김 퓨처’일세. 평화롭고 즐거운 청소년들의 수학 토론 커뮤니티 ‘폴리매스’에 어느 날부터 분열의 조짐이 보이더군. 그 이유는 바로 ‘단순 수학 문제 논란’ 때문이지! 단순한 수학 문제는 존재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 ... ...
- 폴리매스, 궁극의 목적을 향하여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멘토는 2017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 한국 국가대표로 출전해 금메달을 받았고 2019년 서울과학고를 졸업했습니다. 지금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수학과 2학년으로 멋진 수학자가 되기 위해 공부 중이죠. 김다인 멘토의 함풀문에 대해 회원들과 함께 수학적으로 논의하는 회원들에겐 일괄적으로 10 ...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농도를 구하려면 용매인 물의 양과 용질인 방사성 물질의 양을 알아야 합니다. 주한규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에 따르면 보통 우리나라 바다물에는 삼중수소가 0.2Bq/L 검출됩니다. 이 말은 바닷물 1L 속 삼중수소는 1초에 0.2회 방사성 붕괴를 하고, 이는 1초에 방사선을 0.2개씩 내뿜을 만큼 ... ...
- 생명을 살리는 기적의 ‘1시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살리는 소방차의 골든타임은 5분! 119 소방차의 ‘골든타임’은 5분입니다. 서울연구원이 서울시에서 발생한 화재 2만 8009건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소방차가 화재 현장에 도착한 시간이 불이 난 후 5분을 넘겼을 때는 화재로 인한 사망자가 38명이었고, 5분보다 일찍 도착했을 때는 16명이었어요.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